벌써 지방선거… 민주 ‘靑·내각 차출론’ 국민 ‘중진 총동원령’

입력 2017-10-30 05:02
임종석(왼쪽 사진) 청와대 비서실장과 조국(오른쪽) 민정수석.
안철수(왼쪽 사진) 대표와 정동영(오른쪽) 의원.
민주당 ‘靑·내각 차출론’ 모락모락

조국-부산, 김경수-경남, 임종석-전남·서울, 김동연-경기?


여권 내부에서는 내년 6월 지방선거 ‘청와대·내각 차출론’이 끊이지 않는다. 문재인 대통령의 높은 지지율이 유지된다면 측근들이 나선 지방선거에서 승리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여권 내부의 기대가 깔려 있다.

고향이 부산인 조국 민정수석은 부산시장 후보군에 이름이 올랐다. 29일 발표된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의 부산시장 적합도 조사(부산 거주 성인남녀 1076명 전화면접, 표본오차 95%에 신뢰수준 ±3.0% 포인트)에서 오거돈 전 해양수산부 장관과 서병수 현 시장의 뒤를 이어 3위(8.7%)를 기록했다. 부산 지역구 의원인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 친문 핵심인 이호철 전 청와대 민정수석 출마론도 확산 중이다.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은 전남지사, 서울시장 후보군에 이름이 계속 오르내린다. 본인은 출마를 부인하지만 대구 수성갑을 지역구로 두고 있는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은 여권 내 대구시장 후보 1순위다. 일각에서는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경기지사 후보군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경남지사 후보로는 문 대통령의 최측근인 김경수 의원이 거론된다.

차출설은 무성하지만 이들이 출마를 선택하기까지는 변수가 많다. 일단 본인들의 출불마 의사가 강하다. 조국 수석이나 김부겸 장관 등 대부분의 인사들은 사석 등에서 여러 차례 ‘출마하지 않겠다’ ‘출마할 명분이 부족하다’는 의사를 밝혀 왔다. 가장 큰 변수는 문 대통령이다. 대통령이 직접 출마를 권유할 경우 이를 거부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문 대통령은 그런 스타일이 아니라는 게 여권 내 정설이다.

여권 관계자는 “문 대통령은 노무현 전 대통령으로부터 출마 권유를 받고 청와대를 그만두기까지 했던 사람”이라며 “본인의 출마 의지가 강하면 모를까 대통령이 출마를 권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안희정 지사의 불출마가 사실상 확정적인 충남지사 출마 의사를 굳힌 것으로 알려졌고, 문 대통령의 최측근 ‘3철’ 중 한 사람인 전해철 의원은 경기도지사에 도전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김판 기자 pan@kmib.co.kr

국민의당 ‘중진 총동원령’ 가능성

안철수-서울, 정동영-전북, 박지원-전남, 천정배-경기?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와 당내 간판 의원들의 차출론이 힘을 받고 있다. 지지부진한 당 지지율 탓에 인재 영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안 대표를 포함한 중진 총동원령이 내려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안 대표는 지난 25일 당 통합을 둘러싼 내홍 봉합을 위해 열린 최고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 “당에서 결정하면 (내년 6·13 지방선거에서) 어디든 나가겠다. 중진들도 출마 결단을 해 달라”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안 대표 측 관계자는 29일 “모든 걸 내려놓고 당을 위해 헌신하겠다는 취지”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하고 있다. 그러나 당 안팎에서는 안 대표가 사실상 내년 지방선거 출마 결심을 굳힌 것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한 자릿수에 정체돼 있는 당 지지율 반등, 바른정당과의 선거연대 추진 등을 고려해 안 대표가 출마 승부수를 던질 것이란 관측도 적지 않다.

일단 안 대표의 서울시장 출마가 유력하다. 부산시장 출마설 등도 거론되지만, 당대표와 대권주자로서의 상징성, 지방선거에서 서울시장이 가지는 무게감 등을 고려할 때 다른 대안을 선택하기 어렵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외에도 대선에 출마했던 정동영 의원은 전북지사 후보에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고, 천정배 전 국민의당 대표의 경기지사 차출론도 급부상하고 있다.

물론 전남지사 출마를 기정사실화한 박지원 전 대표 이외에는 대부분 명확한 의사를 밝히지 않고 분위기를 살피고 있다. 지지율 고공행진 중인 정부·여당이 현재 분위기를 지방선거까지 끌고 갈 경우 쉽지 않은 선거가 예상되는 만큼 신중할 수밖에 없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정책·선거연대 추진으로 후보 단일화나 공동 선대위 구성 논의가 구체화될 가능성도 변수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일단 지방선거 전까지 선거연대·외부인사 영입 등 흥행동력을 만들고, 중량급 인사들을 전면에 배치해야 한다는 당내 의견이 많다”면서도 “후보군들이 쏟아져 나올 경우 당내 교통정리가 혼란스러워질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