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 경기도지사가 중점 현안으로 추진 중인 ‘광역버스 준공영제’에 대해 도민 4명 중 3명이 찬성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광역버스에 이어 시내버스까지 준공영제를 확대하자는 방안에 대해서도 57%가 찬성했다.
경기도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 관련 여론조사에서 74%가 찬성 입장을 밝혔다고 29일 밝혔다. 준공영제 반대 의견은 21%에 불과했다.
연령대별로는 도내 광역·시내버스인 G버스 이용 빈도가 높은 20대가 85%로 준공영제 찬성 비율이 가장 높았다. 지역별로는 준공영제에 참여키로 한 22개 시·군 주민의 찬성률이 76%로 나타났고, 성남시 고양시 등 불참 의사를 밝힌 지역에서도 74%가 찬성했다.
‘버스의 가치’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 75%가 ‘공공성’을 꼽았으며, 21%는 ‘시장 자율성’이라고 응답했다. 버스 준공영제가 추진될 경우 기대되는 점으로는 ‘사용자 중심의 노선조정을 통한 이용자 접근성 향상’(39%)과 ‘운전기사 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도민안전 확보’(33%)가 가장 많이 꼽혔다. 반면 우려 사항으로는 ‘세금부담이 커질 가능성’(39%)이 가장 높았고, ‘버스회사의 안정적 이윤보장 수단으로 전락할 가능성’(26%)이 뒤를 이었다.
광역버스 준공영제에 이어 시내버스까지 준공영제 도입을 확대해야 하는가를 묻는 질문에도 57%의 도민들이 찬성 입장을 밝혔다. 장기적인 버스체계 운영방식에 대해서는 ‘민영체제를 유지하되 정부나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준공영 방식’(49%)이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고, ‘시장원리에 맡겨야 한다’(완전 민영) 20%, ‘지자체가 직접 버스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완전 공영) 28%로 조사됐다.
장영근 도 교통국장은 “대부분의 도민들이 광역버스 준공영제 추진에 대해 찬성하는 의견을 보인만큼 도의회, 참여 시·군 등과 함께 경기도 광역버스 준공영제가 시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내년 1월 시행을 목표로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추진했으나 경기도시장군수협의회가 ‘경기도-도의회-시·군-시·군의회’ 4자 협의체 구성을 제안하고, 도의회 일부 의원들이 “경기도 광역버스 준공영제는 무늬만 준공영제이지 버스업체 사업자에게 과도한 이익만 주는 졸속 정책”이라고 비판해 제동이 걸린 상태다.
이에 대해 남 지사는 광역버스에 이어 시내버스까지 준공영제를 도입하겠다며 정면돌파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수원=김연균 기자 ykkim@kmib.co.kr, 그래픽=이석희 기자
경기도민 74% “광역버스 준공영제 찬성”
입력 2017-10-29 2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