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적폐청산, 편 가르기·前정부 심판 아니다”

입력 2017-10-30 05:01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세계한상대회에 참석한 재외동포 경제인들을 청와대로 초청, 간담회를 하기 위해 인왕실로 이동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대한민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일에 힘을 모아 달라”고 당부했다. 청와대 제공

촛불 1주년 고강도 적폐청산 의지

문재인 대통령이 촛불집회 1주년을 맞아 고강도 적폐청산 의지를 다시 한 번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적폐청산 작업이 정치적 이념과 상관없는 부조리와 폐단을 씻어내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많은 국민들이 촛불집회에 참석한 이유가 바로 적폐청산에 대한 염원이었다는 인식도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28일 청와대에서 열린 세계한상대회 주요 참석자 간담회에서 “촛불집회를 만들어낸 국민의 힘으로 정부는 적폐청산을 힘차게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적폐청산의 방법에 다양한 생각들이 있을 수 있겠지만, 우리가 적폐를 청산해 나라다운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는 대의에는 누구나 같은 뜻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적폐청산 작업이 범정부적으로 이뤄지고 있지만 정치보복과는 다르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적폐청산은 보수, 진보, 여야, 과거의 소속 정당, 지지하는 대통령 후보와는 상관없는 일”이라며 “적폐청산이라고 하니까 편 가르기나 앞의 정부를 사정하거나 심판하는 것처럼 여기는 분들도 있는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고 단언했다.

문 대통령은 “적폐는 오래 쌓은 폐단”이라며 “앞의 정부에서만 만들어졌던 게 아니라 광복 후 성장만능주의, 물질만능주의 같은 사상을 추구하는 사이에 생겨난 폐단을 말한다”고 정의했다. 이어 “그런 오랜 폐단을 씻어내고 정말 정치를 바르게 해서 정의로운 대한민국, 나라다운 나라로 만들자는 그런 뜻”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적폐청산 작업이 경제 회복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뜻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눈부시게 성장하던 경제가 근래에 제동이 걸려 저성장의 늪으로 빠져든 이면에는 불공정한 특권 경제가 있었다. 이것이 경제의 활력을 뺏고 걸림돌이 됐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런 적폐를 청산하는 게 경제에 활력을 주고 저성장에서 벗어나는 길이라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야권에서는 적폐청산 작업이 이명박·박근혜정부에 집중되는 데 대한 불만도 적지 않다. 전직 대통령 2명이 동시에 수사 선상에 오르는 것은 과하다는 지적도 있다. 문 대통령은 그러나 정치적 논란과는 상관없이 청산 드라이브를 예고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29일 “대선 캠페인 시기는 물론 집권 후에도 자체 여론조사에서 적폐청산을 지지하는 여론이 매우 높다”며 “사회 전반의 부조리를 걷어내 공정 경쟁의 장을 만들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엄혹한 외교안보 상황에서도 견조한 경제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고 자평했다. 문 대통령은 “새 정부 들어 3분기 경제성장률이 1.4%라는 성과를 올려 금년 3% 경제성장은 무난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북핵 리스크, 사드(THAAD) 여파 등 어려운 환경에서 이뤄진 성과라 더 고무적”이라고 말했다. 특히 강력한 부동산 대책이 경제성장률을 잠식했음에도 단기 부양책 없이 성과를 거둔 점을 평가하고 내년부터는 본격적으로 경제 회복세에 들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