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적극적인 쌀 대책으로 4년 만에 쌀값 인상을 이끌어냈다.
29일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 15일 기준 산지 쌀값은 80㎏에 15만984원으로 지난해 13만9716원보다 8% 상승했다. 경북 쌀값은 2013년 17만5000원을 기록한 뒤 계속되는 풍년과 쌀 소비량 감소로 인해 꾸준히 하락했다.
이에 대해 도는 “‘지속가능한 쌀 산업’이란 기조 아래 지난해부터 쌀 생산과 유통의 조정, 쌀 소비 촉진, 벼 재배농가의 경영안정 등을 목표로 ‘쌀 수급 안정대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도는 적정생산을 유도하기 위해 벼 재배면적을 줄이고 있다. 벼 대신 콩이나 옥수수 같은 사료작물 재배를 유도하기 위해 논에 타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에 ㏊당 300만원을 지원하는 적극적인 감축정책을 추진해왔고, 그 결과 올해 벼 재배면적이 지난해보다 3390㏊ 줄었다.
또 다수확 품종 위주의 쌀 생산 정책을 고품질 품종 재배로 유도하기 위해 교육을 실시하고 종자대 등을 지원해 쌀의 고품질화와 생산량 조절을 시도하고 있다.
정부가 쌀값 안정을 위해 사들이는 시장격리곡과 공공비축미 매입을 통한 쌀 유통량 조절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 지난달 산물벼부터 시작한 올해 시장격리곡과 공공비축미 매입 물량은 지난해에 비해 4000t이 많은 10만9000t이다. 이는 전국 매입량 72만t의 15.1%, 도내 쌀 생산량 55만t의 21% 수준으로 쌀 수급 안정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쌀 소비 확대를 위해서는 소비자 기호 파악, 쌀 가공 활성화, 브랜드 파워 강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쌀 가공 활성화를 위해 쌀가루 가격을 밀가루 수준으로 낮춰 식품업체에 공급함으로써 다양한 쌀 가공식품 개발을 유도하는 한편 쌀가루 공급 사업을 도 자체 사업으로 추진 중이다. 또 경북 쌀의 브랜드 파워 강화를 위해서는 2014년부터 매년 경북 6대 우수브랜드 쌀을 선정해 홍보와 지원을 하고 있다.
이밖에도 벼 재배농가의 경영 안정과 쌀 생산기반 유지를 위해 기존 정부정책과 연계한 ‘쌀 소득보전 직불제’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벼 재배 농가를 위해 특별지원금 300억원을 지급해 농가소득 감소분을 보전하기도 했다.
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향후에도 쌀값 안정을 위해 생산량 감축 등 생산조정과 쌀 가공식품 개발을 통한 선도적인 쌀 소비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경북도 다양한 쌀 수급 안정대책 큰 성과
입력 2017-10-29 17:55 수정 2017-10-29 2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