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비리 1567곳 전수조사… 연루자 모두 퇴출”

입력 2017-10-28 05:00
정부 ‘반칙엔 무관용’ 천명
최근 5년간 채용과정 살펴
인사청탁자 실명·신분 공개


정부가 채용 비리 전수조사 대상을 지방 공기업·공공기관, 공직 유관단체까지 확대한다. 반칙에 무관용으로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관계장관 긴급 간담회를 열고 연말까지 1089곳의 채용 실태를 전수조사하겠다고 밝혔다.

이미 전수조사 중인 중앙정부 관리 공공기관(330곳)에 지방 공기업·공공기관(149곳), 한국거래소 등 공공성이 높은 공직 유관단체를 더했다. 지방 공공기관 및 유관단체에 대한 채용 비리 전수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강원랜드, 금융감독원 등에서 채용비리 의혹이 연이어 터지자 강수를 꺼낸 것이다.

최근 5년치 채용과정을 전부 살펴보기로 했다. 단 비리가 제보된 기관은 기간과 무관하게 조사를 실시한다. 심층 조사가 필요할 경우 검찰 등 사정기관을 동원해 추가 점검도 하기로 했다. 채용 비리 ‘발본색원’을 위해 연말까지 채용비리 특별대책본부도 한시 운영한다.

조사 결과 비리가 확인된 연루자는 즉각 직무정지 후 해임 등 중징계를 내리기로 했다. 조사 과정에서 인사 기록 파기·수정 행위를 한 이들도 연루자로 판단할 계획이다. 청탁자는 실명·신분을 공개한다.

비리를 통해 채용된 이들은 퇴출하기로 했다. 정부는 긴급간담회 전까지만 해도 예외를 두겠다는 방침이었지만 회의 종료 후 방향을 바꿨다. 김 부총리는 “고민이 많았지만 부정한 방법으로 채용된 사람들은 퇴출하는 게 맞다고 협의했다”며 “취업준비생을 가진 부모의 심정으로 채용비리 근절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재발 방지를 위해 공공기관운영법 및 지침을 즉각 정비키로 했다. 채용 비리 확인 시 입사 취소, 기관장·감사가 연대책임을 지는 내용 등이 담긴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