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 최고금리 인하와 광고규제로 수익에 빨간불이 켜진 대부업권이 연간 수백억 원에 달하는 광고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업권은 시장침체와 금융소외자 발생을 우려하며 최고금리 인하에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막대한 광고비를 충당하기 위해 금리인하를 늦추려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0일 대부업권에 따르면 러시앤캐시(아프로파이낸셜대부) 등 국내 9개 대부업체가 최근 5년간 집행한 광고비는 총 3147억2300만원이다. 광고비는 매년 감소하고 있다. 광고비는 2012년 289억원에서 2014년 807억원으로 정점을 찍었다가 지난해 534억원으로 급락했다. 올 상반기 지불한 광고비용도 256억4100만 원이다.
광고 내역을 보면 공중파 TV광고는 2013년과 2014년에 각각 4억원, 2400만원을 집행한 게 전부다. 공중파 광고는 2015년부터 광고시간 규제로 전면 금지된 상황이다. 현재 대부 광고는 규제에 따라 ▲평일 오전 7∼9시 ▲오후 1∼10시 ▲토요일·공휴일 오전 7시∼오후 10시에는 광고를 내보낼 수 없다.
TV광고는 종편과 케이블이 주류를 이뤘다. 지난해까지 종편광고 비용으로 80억원이 쓰였다. 그러다 올 상반기에는 37억원을 지불했다. 케이블광고 비용으로는 연평균 280억원을 집행했다. TV광고규제가 있기 전인 2014년에 케이블광고 집행금액은 471억8000만원이다. 대부광고는 TV외에도 인터넷·대중교통·신문·IPTV·기타 등 다양한 매체에서 노출됐다. 이 중에서도 인터넷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실질 광고수단인 TV에서 광고를 못하자 인터넷과 모바일로 눈길을 돌린 것. 인터넷 광고비는 2012년 74억원에서 2015년 217억원으로 3년 새 광고비가 3배 가까이 뛰었다. 올 상반기 인터넷 광고비로는 93억9200만원이 집행됐다. 실제 신문과 무가지로는 광고를 거의 집행하지 않았다. 올 상반기 집행된 광고비는 총 900만원으로 각 사당 100만원 꼴이다.
이처럼 대부업권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대출을 권하고 있다. 하지만 최고금리 인하에는 소극적인 모습이다. 이를 두고 광고비로 나가는 비용을 메우기 위해 금리 인하를 반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앞서 대부협회는 최고금리 인하에 앞서 자본조달 금리 완화 등 규제를 개선해 줄 것을 요청한 바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대부업체는 규모가 클수록 광고 의존성이 크고 이걸 막으면 타격으로 느낄 수밖에 없다”며 “광고 규제 측면뿐만 아니라 대부업 규제에 따른 부작용 등 양방향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허위·과장광고 금지나 시간대 규제 외에는 광고비 집행에 관한 금융당국 통제 권한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는 올 하반기 대부방송광고 총량을 전기 대비 30% 자율 감축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송금종 쿠키뉴스 기자
“광고비 뽑아야 하는데”… 대부업 금리인하 반발 속사정
입력 2017-10-29 1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