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업계가 잠재 고객을 위한 새로운 전시장 트렌드를 선보이고 있다.
자동차 구매의 형태가 전통적 형태에서 벗어나 다양해지고 있다. ‘필요에 의한’ 차량 구매 고객을 넘어서 ‘잠재 고객’에 대한 마케팅 전략이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BMW 그룹은 지난 2012년부터 단순한 세일즈를 넘어 직관적인 경험을 통해 고객과 더욱 깊이 소통하고자 ‘BMW 퓨처 리테일’이라는 통합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퓨처 리테일은 BMW그룹의 딜러 네트워크에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고 새로운 사고를 심어 고객에게 더 감성적으로 소통하는 개별화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국내에서도 BMW그룹 코리아는 이러한 퓨처 리테일 전략에 맞춰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기존 전시장에 고객 경험과 체험 공간을 늘리는 한편, 새로운 유통 트렌드인 대형 쇼핑 테마파크에 발 맞춰 스타필드에 신개념 전시장을 열고 있다.
이러한 대형 쇼핑 테마파크 전시장의 경우, 자동차를 사려는 고객이 아니지만 쇼핑이나 외식, 문화생활을 위해 이곳을 찾은 잠재 고객들을 대상으로 브랜드를 노출하고 경험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추고 있다.
면적 676.66㎡의 BMW 시티 라운지와 284.99㎡의 MINI 시티 라운지를 통해 주요 차량 전시와 시승을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지난 2월 초에는 디지털 쇼룸도 오픈했다. 스타필드 하남의 디지털 쇼룸은 실제 차량 없이도 대형 스크린과 VR(Virtual Reality) 기술만을 활용해 차량을 체험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전시장이다.
BMW 그룹에서는 한국을 시작으로 가상현실 기반의 디지털 쇼룸을 운영하고 향후 독일 및 다른 국가에도 확산시킬 계획을 하고 있다.
BMW의 모터사이클 브랜드인 BMW 모토라드는 라이더들의 주요 라이딩 코스인 이천에 ‘카페 모토라드’라는 새로운 개념의 공간을 운영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또한 브랜드별로 다양한 전시장을 운영하고 있다. 2014년 서울 강남 ‘현대 모터스튜디오 서울’을 개관한 이래 ‘현대 모터스튜디오 모스크바’ 디지털 고객 경험 위주의 ‘현대 모터스튜디오 디지털(삼성동 코엑스 소재)’ ‘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 등을 차례대로 개관했다. 10월 셋째주 기준으로 서울은 50만7392명, 디지털은 33만5841명, 하남은 84만9590명, 고양은 지난 22일까지 17만명이 방문했다.
기아차는 역시 서울 압구정동에 브랜드 체험관 ‘비트360’을, 제네시스도 하남스타필드에 ‘제네시스 스튜디오’를 열어 차량들을 전시했다.
이훈 쿠키뉴스 기자 hoon@kukinews.com
“잠재 고객 모셔라”… 車업계 ‘차근차근’ 전략
입력 2017-10-29 1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