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서 노동계 대표단과 만찬
토론·타협 통한 해법도출 강조
“형식 구애받지 않고 대화할 것”
민주노총, 절차 문제삼아 불참
문재인 대통령이 노동계 대표단과 만찬을 갖고 “노동계도 정부와 협력하고 대통령을 설득해 이끌어내야만 노동계가 꿈꾸는 세상에 다가갈 수 있다”고 말했다.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노동계와 대화에 나서겠다는 뜻도 밝혔다. 하지만 민주노총 지도부는 새 정부 첫 노동계 상견례 자리에 절차상 문제를 트집 잡아 불참했다. 노정 관계의 험로가 예고되고 있다.
문 대통령은 24일 청와대 본관 충무실에서 한국노총, 국회환경미화원 노조, 자동차노동조합연맹 지도부 등 노동자 대표단과 1시간25분간 만찬을 했다. 문 대통령은 “노동계와 정부는 국정 파트너의 관계”라며 “제가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하겠다. 그러나 노동계가 함께해주면 훨씬 많이 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0년 정도 우리 노동은 아주 소외되고 배제됐다. 노동조합 조직률이 많이 떨어졌고 노동자 개개인의 삶도 아주 나빠졌다”고 평가했다. 이어 “오늘 이 자리가 많이 기다려졌다. 조금 설레기도 했다”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만찬에 앞서 김주영 위원장 등 한국노총 지도부와 45분간 비공개 환담했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노사정위원회와 함께 노사정 대표자 회의 등을 통해 사회적 대화가 진척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국노총이 제안한 8자 회의 참석 여부에 대해서도 “노사정위원회를 대체하지만 않는다면 앞서거니 뒤서거니 논의가 이뤄지는 건 좋은 일”이라며 긍정적으로 화답했다. 문 대통령은 “노동계가 다 함께하지 못해 아쉽다. 다음 기회에는 같이할 수 있는 자리를 가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민주노총의 불참에 아쉬움을 표했다.
민주노총은 만찬에 앞서 “청와대가 형식적인 이벤트 행사로 만들었다. 강력한 유감을 표한다”며 불참 의사를 밝혔다. 민주노총은 문성현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위원장이 배석한 점, 민주노총 지도부를 통하지 않고 산별 노조와 직접 접촉한 점을 불참 사유로 들었다.
하지만 청와대는 납득하기 어렵다는 기류가 강하다. 구체적인 현안을 다루지 않는 상견례 성격인데도 불참한 이유로는 타당하지 않다는 것이다. 청와대는 민주노총이 연말 차기 위원장 선거를 앞두고 선거 동력 확보 등을 이유로 초강경 노선을 택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 청와대는 노동시간 감축, 최저임금 인상 등 노동 정책의 성공을 위해서는 노동계도 반성과 희생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청와대는 비공개 환담과 만찬에서 정상급 외빈 접견 시 사용되는 청와대 본관 접견실과 충무실을 각각 제공하며 국빈급으로 예우했다.
글=강준구 기자, 세종=신준섭 기자 eyes@kmib.co.kr, 사진=이병주 기자
[투데이 포커스] 文 대통령 “노동계도 대통령을 설득해야”
입력 2017-10-25 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