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전국 첫 ‘공공보건의료재단’ 출범

입력 2017-10-24 21:49
박원순 서울시장(왼쪽 다섯 번째)과 권덕철 보건복지부 차관(왼쪽 일곱 번째) 등 관계자들이 24일 서울 마포구 상암에스플렉스센터에서 전국 최초로 문을 연 서울시 공공보건의료재단 현판식에서 박수를 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시립병원과 보건소 등 지역 보건의료 역량을 한 곳에 모은 ‘공공보건의료재단’을 출범했다.

서울시는 마포구 상암동 에스플렉스센터에서 공공보건의료재단 개관식을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개관식에 참석한 박원순 서울시장은 “재단을 시민 건강수명 연장의 출발점이자 공공보건의료 혁신 허브로 삼고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초대 재단 대표이사는 이영문 전 국립공주병원장이 맡았다.

재단은 13개 시립병원과 25개 보건소 등 60여개 기관에 흩어져 있는 공공보건의료기관 데이터를 수집해 정책을 개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시민 의료이용 데이터, 시립병원·보건소 통계 등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공공보건의료계획, 지역보건의료계획 등 종합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시민 만족도가 낮은 시립병원 체질 개선도 돕는다. 서울 시내 시립병원의 재정자립도는 평균 66.3%로 전체 공공병원 평균(80%)에 미치지 못한다. 낮은 재정자립도는 의료서비스 질 저하, 의료비 부담 상승으로 이어져 시민 만족도 역시 낮을 수밖에 없었다. 재단은 재정자립도, 의료서비스 질, 경영 전반에 대한 컨설팅을 지원해 궁극적으로 시립병원에 대한 시민 만족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시민 건강관리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도 구축한다. 병원과 보건소, 복지기관, 사회복귀시설 등과 연계해 공공의료서비스를 강화한다는 목표다. 그동안 시에서 제공하던 의료서비스가 치료 중심에 머물렀다면 재단을 통해 서울시는 의료 전(前) 단계부터 전문적 의료 및 치료, 의료 후 단계(재활)까지 체계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재단은 병원장·보건소장협의회, 대사증후군 관리사업지원단, 통합건강증진사업지원단, 감염병관리본부 등 서울시 사업단과 시립병원, 보건소 관계자 협의체를 운영할 예정이다.

민간 의료 기관의 한계로 지적됐던 감염, 재난, 응급 등 필수 의료서비스도 중점적으로 다루게 된다. 2015년 창궐했던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처럼 국가적인 전염병이 발생할 경우 체계적인 대응에 나설 수 있도록 보건의료서비스 공공성을 강화한다는 취지다.

재단 설립은 서울시가 2013년부터 사업을 추진한 지 4년여만의 일이다. 2015년 재단 설립 타당성 조사 학술연구를 마쳤으며 서울시의회, 보건복지부와 협의 끝에 지난해 9월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지난 6월 보건복지부 설립 허가를 받았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