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조위, 회견 통해 ‘의혹’ 제기
전두환정부 시절 범정부적 차원에서 5·18민주화운동 관련 자료를 조작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5·18민주화운동 헬기사격 및 전투기 출격대기 관련 국방부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는 23일 기자회견을 열어 “전두환정부가 1985년 이른바 ‘80위원회’를 구성해 범정부 차원의 대응 방안을 마련했다”며 “역사적 사실을 조작·왜곡하려던 부분에 대한 진상을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80위원회’의 존재가 밝혀진 것은 처음이다.
이건리 특별조사위원장은 “특조위가 발굴한 1985년 6월 5일 관계장관대책회의 자료에 따르면 정부는 국무총리실 행정조정실장을 위원장으로 내무부 법무부 국방부 문화공보부 육군본부 보안사 치안본부 청와대 민정당 국가안전기획부가 참여하는 가칭 ‘광주사태 진상규명위원회’를 설치, 운영하기로 논의했다”고 말했다.
진상규명위는 ‘광주사태’(5·18 민주화운동) 관련 모든 자료를 수집하고 종합 검토해 백서를 발간하는 게 설립 목적이었다. 실무책임은 안기부 2국장이 담당하고 수집정리·분석작업·지원팀 등 3개 실무팀과 실무활동을 관리하는 심의반으로 구성됐다. 진상규명위 명칭은 ‘80위원회’로 명명됐다. 이 위원장은 “정부 차원의 기구가 외부로 알려지는 것을 막기 위해 80위원회로 명명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특조위는 80위원회 관련 자료를 발굴한 경위에 대해 “국회 청문회 과정에서 실체가 알려진 1988년 511위원회 또는 511연구반보다 3년 앞서 80위원회가 구성돼 운영된 사실을 정부 문서를 통해 확인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특조위는 80위원회가 군 기록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했다. 특조위가 조사한 군인들의 증언이 담긴 5·18 체험수기에서 특정 사안이 삭제되거나 수정된 흔적이 발견됐다는 것이다. 이 위원장은 “1980년과 81년 사이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기무사 제출 체험수기와 1988년 군사연구소가 발간한 체험수기는 내용에 차이가 있고 다양한 수정이 이뤄졌다”고 말했다. 체험수기 가운데 3∼4줄을 지우고 복사한 내용을 첨부하거나 ‘지면 사격’에 대한 부분은 지운 흔적도 발견됐다. 지면 사격은 땅을 향해 쏘는 사격으로, 인명 살상 위험이 크다. 1981년 6월 8일자 체험수기에는 당시 계엄군이 ‘무릎쏴’ 자세로 집단사격을 했다는 군 간부 증언이 있었지만 군사연구소가 발간한 체험수기의 내용은 이와 다르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다만 80위원회 활동과 이 위원회가 백서를 발간했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특조위는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의 헬기 사격이나 폭탄을 탑재한 전투기의 광주 출격대기 의혹의 사실 여부에 대해선 규명하지 못했다. 이 위원장은 “피해자와 목격자 증언, 공군 조종사, 무장사들의 진술을 면밀히 분석해 진실성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전두환정부, ‘80위원회’ 통해 5·18 자료 조작”
입력 2017-10-24 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