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네이버 이해진 국감 출석해 의혹 직접 해명해야

입력 2017-10-23 17:44
네이버는 국내 포털 검색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인터넷기사의 이용자 점유율도 60%에 이른다. 네이버가 뉴스·미디어 공룡으로 불리는 이유다. 대다수 국민이 네이버로 검색을 하고 뉴스를 소비하고 있다고 해도 무방하다. 단순 기사와 정보 전달자가 아닌 편집과 배포라는 언론의 기능까지 사실상 수행하고 있다. 이에 대해 네이버는 언론사의 기사를 받아 재배치하기 때문에 언론이 아니라고 반박한다. 청탁을 받고 뉴스 배치를 조작한다는 수많은 지적에도 그런 일은 절대로 없다고 강변했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었다. 네이버가 외부의 부탁을 받고 뉴스 배치를 조작했다는 것이 처음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네이버는 지난해 10월 한국프로축구연맹의 청탁을 받아 연맹을 비판하는 기사를 잘 보이지 않게 의도적으로 재배치했다. 청탁자는 담당 간부에게 “이번이 마지막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는 문자메시지도 남겼다. 뉴스 배치 조작이 이번만이 아니라는 것을 암시한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감사 결과 의혹이 사실로 확인됐다”며 사과했다. 네이버가 조작을 시인한 것은 처음이다.

뉴스 편집을 둘러싼 네이버의 공정성 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번처럼 외부 요청을 받거나 자체 정치적 고려로 메인 뉴스에 걸릴 기사를 배치한다는 의혹이 끊이지 않았다. 심지어 기사 본래의 제목을 바꾸기도 했다. 지난달에는 검색 순위 불법 조작이 검찰에 적발되기도 했다. 언론이 아니라면서 언론 본연의 기능인 편집까지 하고 있는 셈이다.

포털의 뉴스 편집 등이 논란이 되자 국회도 나섰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오는 30일 종합 감사에서 이해진 네이버 전 의장과 김범수 카카오 의장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두 사람은 지난 12일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됐지만 해외 출장 등을 이유로 불출석했다. 이 전 의장은 이번에는 국회에 출석해 각종 의혹들에 대해 명확히 해명하고 근본적인 재발방지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다시 이런 저런 이유를 들어 출석하지 않는다면 국민적 지탄을 면치 못할 것이다. 차제에 국회는 포털의 언론 왜곡을 막을 입법을 서둘러 마련하고 포털은 뉴스 유통 알고리즘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공정성과 투명성은 포털의 최고 가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