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산업은행이 추진 중인 대우건설 매각이 순조롭게 진행되더라도 1조원 넘는 손실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김선동 의원은 23일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산업은행의 대우건설 지분 매각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1조원대 손실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산은은 지난 13일 BOA메릴린치와 미래에셋대우를 주관사로 선정해 KDB밸류제6호가 보유한 대우건설 지분 50.75%(2억1093만주가량)를 전량 공개경쟁입찰 방식으로 매각하겠다고 공고한 바 있다. 산은은 내년 4월까지 매각 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앞서 산은은 사모펀드를 조성해 2010년 1조원(주당 1만1123원), 2011년 2조1785억원(주당 1만8000원) 등 총 3조1785억원을 대우건설에 투입했다. 주당 평균 취득가액은 약 1만5000원선이다.
문제는 현 대우건설 주가가 그 절반 수준이라는 점이다. 김 의원은 “대우건설 주가는 최근 3개월간 최저 6760원, 최고 8320원 등 7000원 안팎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며 “경영권 프리미엄을 고려해도 큰 손실이 날 전망”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통상적인 경영권 프리미엄 25%를 붙여도 주당 7000원으로 매각한다면 1조3323억원의 손실이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주당 8000원으로 매각했을 때 손실액 규모는 1조685억원이다. 대우건설 주식은 23일 종가 기준 주당 7010원이다. 대우건설은 상반기 좋은 실적을 내긴 했지만 ‘최순실 낙하산’ 꼬리표를 떼지 못한 채 중도 퇴진한 박창민 전 사장 논란 등 악재가 계속된 탓에 주가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김 의원은 “현재 주가 흐름으로는 투자 당시 주가 1만5000원 근처에도 못 가고 산은이 희망하는 매각가 1만2000원도 희망사항으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정책자금을 투입해 대우건설을 인수했는데 1조원 규모의 매각 손실이 나도 구조조정 실패에 대해 책임지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것은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글=홍석호 기자 will@kmib.co.kr, 그래픽=공희정 기자
“산은, 대우건설 아무리 잘 팔아도 1조 넘게 손실”
입력 2017-10-24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