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安倍晋三·사진) 일본 총리가 22일 실시된 중의원 선거에서 압승함에 따라 대외 정책에 있어서도 ‘강한 일본’을 내세우며 강경론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아베 총리는 일단 다음 달 5일 방일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한결 느긋한 입장에서 맞을 수 있게 됐다. 기존에도 두 정상이 가까웠지만 아베의 선거 승리 이후 몇 년을 더 파트너로 지낼 수 있게 된 만큼 미·일 관계가 한층 돈독해질 전망이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트럼프 대통령에게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일본의 역할 확대나 자위대의 군사력 강화 필요성을 요구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선거 과정에서 북한에 대한 압박 강화 필요성을 제기해온 아베 총리로서는 제재 강화 목소리를 더욱 키울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북한과의 ‘대화 무용론’을 여러 차례 주장해 왔기에 향후 형성될지 모를 북·미, 남·북 간 대화 분위기에도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다만 아베 총리가 일본인 납북자 문제 해결을 자신의 중점 공약 중 하나라고 강조해 왔기에 이 문제에 진전이 있을 경우 북한과의 대화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국과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로 여전히 껄끄러운 사이지만 북한 문제를 둘러싼 한·미·일 공조 필요성 때문에 문재인 대통령과 ‘셔틀외교’를 본격화하거나 일본이 연말을 개최 목표로 내건 한·중·일 3국 정상회담 등을 통해 유화적 분위기로 돌아설 수 있다. 다만 그렇더라도 일본군 위안부 소녀상 철거 요구는 계속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중·일 관계는 갈등이 격해질 것이란 전망이 많다. 아베 총리와 마찬가지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도 19차 공산당대회를 통해 권력이 더욱 공고해지고 대외 정책에 있어서도 힘의 논리를 내세울 가능성이 높아 양국이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문제나 군사력 확장을 둘러싸고 충돌할 개연성이 높다. 중국이 수년간 참석을 거부해온 한·중·일 3국 정상회담에 나설지가 양국 관계 개선을 엿볼 시금석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구성찬 기자 ichthus@kmib.co.kr
강해진 아베, 외교도 강공?
입력 2017-10-23 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