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암세포 살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광역학요법 광감각제가 국내 의료진에 의해 개발됐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소화기내과 최명규(사진 왼쪽) 박재명(오른쪽) 교수 연구팀이 최근 ‘포토센시타이저 엔캡슐레이티드 폴리메릭 나노파티클’(PS-pNP)을 췌장암 세포를 찾아내는 광감각제로 시용하는 세포실험 연구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결과 광역학요법 광감각제로 PS-pNP를 이용하면 체외배출에 의한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암세포에 대한 빛 치료 효과도 배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학요법은 빛을 잘 받아들이면서도 암세포만 찾아서 표시하는 성질의 광감각제를 투여한 다음 빛을 조사해 암세포를 죽이는 치료법이다. 현재 췌장암 등 고형 암뿐만 아니라 심혈관질환, 건선 등 난치성 피부질환, 안질환 등의 치료에도 활용되고 있다. 광감각제는 암세포에만 특이하게 들러붙도록 고안된 약물이다.
문제는 투입 후 몸속 암세포가 광감각제를 충분히 흡수하도록 해야 하는데, 체내 세포막 운반체가 광감각제를 자꾸 세포 밖으로 유출시켜 치료 효율을 떨어트린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새 광감각제 PS-pNP로 해결했다. 실험결과 PS-pNP를 쓰면 암세포 밖으로 새는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최 교수는 “PS-pNP가 효과적인 광감각제임이 증명된 만큼, 향후 광역학요법을 이용한 췌장암 치료 시 활발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미국암연구협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몰리큘러 캔서 써래퓨틱스’(MCT)’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서울성모병원 최명규·박재명 교수팀, 췌장암 세포 살상효과 높이는 ‘광감각제’ 개발
입력 2017-10-24 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