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車 노조 강성 새 집행부 출범

입력 2017-10-21 05:00

현대자동차 신임 노조 집행부가 20일 공식 출범했다. 자동차산업 위기 속에 강성으로 분류되는 새 노조 집행부 출범으로 임금단체협상(임단협)과 통상임금 등 노사 간 이견이 큰 사안을 어떻게 조율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현대차 노조는 이날 현대차 울산공장에서 노조 이취임식을 열고 본격적인 교섭 준비에 들어갔다. 지난 8월 말 이후 중단된 노사 교섭이 24일부터 재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부영(사진) 지부장은 출범 노보를 통해 “판매와 수출, 해외공장의 심각성을 잘 알고 있다”면서도 “노동자 임금 인상을 억제·삭감하거나 관리자들의 희망퇴직을 종용한다고 현대차의 위기 극복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새 노조는 출범 전부터 임단협 연내 타결을 강조해 왔지만 노사 간 입장차가 크다. 또 새 집행부가 시간에 쫓겨 졸속 합의를 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이어서 연내 타결은 불투명하다. 회사는 올해 임단협 과정에서 세 차례에 걸쳐 기본급 동결, 3호봉 승급(평균 4만2879원 인상), 성과급 250%+140만원 지급 등을 노조에 제시했다. 하지만 노조는 임금 15만4883원(호봉승급분 제외) 인상,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등을 요구하고 있다.

통상임금이 돌발변수가 될 수도 있다. 새 집행부가 통상임금 확대를 주요 안건으로 꺼내들었기 때문이다. 최근 기아차 노조가 통상임금 1심에서 승소하자 현대차 노조도 통상임금 확대를 주장하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통상임금 소송에서 2심까지 패소한 상태다. 현대차 관계자는 “임금 교섭에서 이견이 가장 크다”며 “통상임금은 노조위원장 선거 과정에서 공약으로 나왔지만 아직 구체적인 논의 방향이 잡힌 것은 없다”고 말했다.

업계 안팎에서는 노사가 유연한 협상을 통해 작금의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에 능동적으로 대비하기를 바라는 목소리가 많다. 현대차 노조 창립을 주도한 1세대 노동운동가 이상범 기술주임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새 집행부에 대한 요구와 기대 수준은 높지만 현실적 수단은 마땅치 않고 시간도 짧다”며 “서로 상생의 지혜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