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조선업 종사자 20개월간 40% 실직

입력 2017-10-20 05:02
울산의 주력산업중 하나인 조선업 위기가 장기화되면서 관련 노동자가 40% 정도 감소하고 업체들의 임금체불도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도급업체의 줄도산 위기론까지 번지면서 지역 사회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19일 울산시와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김종훈 민중당 의원에 따르면 울산 조선업의 고용보험 피보험자는 2015년 말 6만339명에서 지난 8월 3만8396명으로 급감했다. 1년 8개월 동안 조선업에서만 2만4643명의 일자리가 사라진 셈이다. 고용보험 가입자 감소는 실업자 증가를 의미한다.

특히 현대중공업이 위치한 울산 동구는 같은 기간 조선업 고용보험 피보험자가 5만5999명에서 3만3987명으로 2만212명 줄어들었다. 울산 동구 전체 고용보험 피보험자 감소가 2만3200명인 점을 감안하면 고용 감소 대부분이 조선업에서 발생했다는 얘기다.

조선업 실직자들 상당수는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 떠났다. 2015년 12월부터 지난 5월까지 1만5176명이 일자리를 찾아 울산을 떠난 것으로 집계됐다. 동구 인구는 2013년 2월 18만명대에 진입한 후 꾸준히 하락해 지난해 9월부터는 17만명대로 떨어졌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협력업체의 줄도산 위기론도 여전하다. 실제 조선업 하도급업체의 임금체불액은 올 상반기 225억원이 발생했다. 지난해 상반기(188억원)보다 37억원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임금체불 규모 400억원은 역대 최고치였는데 올해 이를 갱신할 가능성이 높다.

조선업황을 나타내는 선박·보트 건조 생산지수는 지난해 -15%였는데 올 상반기는 -19.6%를 기록했다. 지난해보다 좋아질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고용노동부는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조선업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원을 내년 6월 30일까지 연장했다. 울산시도 지역 내에 사업장을 둔 조선업 관련 제조기업에 ‘시출연 조선업종 특례보증’ 75억원을 지원한다. 하지만 저가 수주로 인한 손실이 장기화되면서 협력업체들의 재정 적자는 누적되고 있다.

김종훈 의원은 “무조건 인력을 자르고 보자는 식의 구조조정 정책이 심각한 조선업종 인력감축 원인”이라며 “구조조정 정책방향을 일자리와 숙련 유지 쪽으로 전환하는 실효성 있는 조선업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