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8일 “정부나 공공기관이 정책을 추진할 때 사회적 가치가 중요한 기준으로 반영돼야 한다”며 “사회적경제 관련 3법 개정을 통해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서울 성수동 헤이그라운드 빌딩에서 진행된 일자리위원회 제3차 회의를 주재하며 “사회적경제는 일자리를 늘리는 동시에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착한 경제로, 우리 경제가 직면한 고용 없는 성장과 경제적 불평등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유럽연합 국가들은 사회적기업의 고용 비중이 6.5% 수준이며 10%를 넘는 나라도 있지만 우리는 6%도 안 된다”며 “가격과 효율성만 앞세우면 사회적경제기업이 일반 기업보다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공공부문 일자리 81만개 창출 공약과 관련해 “임기 동안 경찰관 소방관 부사관 등 공무원 17만4000명을 충원하고 공공부문의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공기업 인력 충원을 통해 30만개의 좋은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노동시간 단축은 인간다운 삶을 위해 반드시 실현돼야 하며 일자리를 나누고 우리 사회 고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도 필요하다”며 “먼저 주당 52시간의 노동시간을 확립하겠다”고 말했다.
헤이그라운드 1층에는 대표 입주 기업 제품이 전시돼 있었다.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등의 지원을 위해 설립된 ‘마리몬드’의 휴대전화 케이스와 티셔츠, 노숙자들의 재활을 돕고 있는 잡지 ‘빅이슈코리아’ 등이다. 문 대통령은 이를 둘러보며 입주 기업 대표들과 판매 현황 등을 주제로 대화했다. 특히 안병훈 빅이슈코리아 대표에게는 지난해 12월 서울 홍대입구역에서 ‘일일 판매원’으로 나섰던 경험을 언급했다. 안 대표는 “도와주신 이후 판매가 많이 늘었다”며 “(노숙자) 60분이 임대주택에 들어갔고, 40분이 재취업해 자립에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대단한 성과”라며 “판매부수를 더 늘려야겠다”고 화답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文 대통령 “사회적경제는 일자리 늘리는 착한 경제”
입력 2017-10-19 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