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 개혁·성숙 위해 여성 참여권 법제화 해야”

입력 2017-10-19 00:00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전국여교역자연합회와 전국여신학생연합회 회원들이 지난달 20일 서울 서초구 온누리교회 양재성전 앞에 마련된 천막에서 ‘여성총대 할당제’ 도입을 지지하는 서명을 받고 있다. 국민일보DB
한국교회의 성숙과 개혁을 위해서는 여성들의 교단정치 참여 확대가 법제화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교회여성연합회(한교여연·회장 민경자 장로)는 18일 ‘2017년 각 교단 총회의 여성 총대 현황’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각 교단 총회의 여성 총대 수가 한 자릿수에 머무는 현실이 바뀌고 있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통합의 여성 총대 비율은 전체의 1.13%(1500명 중 17명)에 불과했다. 한국기독교장로회(기장)는 9.09%(682명 중 62명), 기독교한국루터회는 3.79%(79명 중 3명)로 조사됐다.

또 기독교대한감리회(기감)의 여성 총대 비율은 14.28%(497명 중 71명), 대한성공회는 13%(123명 중 16명), 기독교대한복음교회는 16.27%(129명 중 21명)로 나타났다. 여성 총대가 1명도 없는 예장합동 등은 조사에서 제외됐다.

기감은 2015년 여성 총대 비율을 15%로 의무화했지만 현재 이에 못 미쳤다. 여성 총대 비율이 15% 이상인 연회는 전체 13곳 중 중부연회 등 5곳에 그쳤다.

기독교대한복음교회는 교단 창립 후 남녀 구분 없이 총대를 세우기로 했지만 여성 총대 비율이 16%에 머물렀다. 또 대한성공회는 양성평등 관련 인식개선 교육 프로그램을 꾸준히 운영해 올 초 성공회대 등에 성희롱 예방교육 커리큘럼을 설치했다. 하지만 한교여연은 대한성공회의 여성 총대 비율이 여전히 미흡하다고 분석했다.

한교여연은 여성의 교단정치 참여 확대와 더불어 한국교회는 한반도의 안보와 평화를 위해 대화와 협력을 모색하며 평화통일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핵발전소는 10만년이 지나도 썩지 않는 핵폐기물을 생산한다며 성서에 위배되는 핵시설을 폐기하는 데 한국교회가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한교여연은 기감 기장 등 8개 교단의 여선교회연합회로 구성돼 있다.

전병선 기자 junb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