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재단 “계엄군이 작성한 암매장 약도 찾아내” 현장조사

입력 2017-10-19 05:02
5·18기념재단과 5·18단체 관계자, 암매장을 목격한 제보자 등이 18일 광주 북구 옛 광주교도소 외곽에서 5·18민주화운동 당시 암매장 장소로 추정되는 곳을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5·18민주화운동 당시 행방불명자들이 암매장된 곳으로 추정되는 옛 광주교도소 부지에 대한 현장조사가 시작됐다. 암매장 발굴 작업은 2009년 이후 8년 만이다.

5·18기념재단은 “법무부 승인 아래 옛 교도소 시설물 등에 대한 발굴준비 현장조사를 19일까지 이틀간 벌인다”고 18일 밝혔다. 암매장 제보자와 고고학 전문가 등이 참여해 지형변화와 시설물 위치변경 등을 살펴보는 현장조사는 제보자 신원 보호를 위해 외부에 공개하지 않고 진행한다. 현장조사 결과와 향후 발굴계획 등은 오는 23일쯤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할 예정이다.

재단 측은 5·18 당시 광주교도소에 수감 중이었던 재소자로부터 교도소 내부 암매장 장소에 대한 구체적 증언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또 광주교도소에 주둔했던 3공수여단 부대원이 작성한 메모에서 암매장 관련 약도를 찾아냈다.

재단 측은 현장조사를 통해 암매장 추정 장소의 범위를 좁힌 뒤 본격 발굴 작업을 실시할 방침이다. 전남 화순 너릿재 인근과 제2수원지 상류에 대한 암매장 발굴 작업도 올해 안에 추진할 예정이다.

5·18 사적지 22호로 지정된 광주 문흥동 옛 교도소는 5·18 당시 전남대에서 퇴각한 3공수여단과 20사단 62연대 소속 계엄군 병력이 주둔했던 장소다. 계엄사령부가 발표한 80년 5월 31일 ‘광주사태 진상조사’ 문건에는 이른바 ‘교도소 습격사건’으로 민간인 28명이 숨진 것으로 기록돼 있다.

하지만 그동안 임시 매장 형태로 발굴된 시신은 11구에 불과하다. 5·18 직후 교도소 관사 뒤에서 8구의 주검이 발견된 데 이어 교도소 앞 야산에서 시신 3구가 암매장 상태로 추가 발견됐었다. 1971년 10만6000㎡ 부지에 건립됐던 광주교도소는 2015년 10월 삼각동으로 신축 이전했다.

광주시는 5·18특별법에 의한 보상과정에서 5·18 행불자 지위를 인정받은 사람은 모두 82명으로 이중 6명이 유전자 분석을 통해 시신을 찾았다고 밝혔다. 앞서 시는 1997년부터 5·18암매장 제보를 받기 시작해 총 64건의 신고를 접수받았다. 이후 2002년 6월∼2003년 5월, 2006년 2월∼2007년 12월, 2008년 8월∼2009년 4월 등 3차례에 걸쳐 9곳에서 발굴 작업을 했다. 하지만 발견된 유골에 대한 유전자 감식결과 5·18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는 등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5·18기념재단 김양래 상임이사는 “이번 발굴 작업을 암매장 진상규명의 마지막 기회로 여기고 있다”며 “유골이 발견되면 검찰 수사를 요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