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반도체 수탁생산 체제인 ‘8㎚(나노미터) 파운드리 공정’ 개발을 완료하고 양산 준비를 마쳤다. 메모리 반도체 시장을 장악한 삼성전자가 시스템 반도체 부문까지 본격적으로 공략한다는 의미다.
삼성전자는 18일 “8나노 파운드리 공정은 기존 10나노 2세대 공정 대비 전력효율은 10% 향상되고 면적은 10% 축소됐다”면서 “모바일·네트워크·서버·가상화폐 채굴 등에 필요한 고성능 프로세서에 적합하다”고 밝혔다.
이는 현재 삼성전자가 양산에 적용하고 있는 10나노 2세대 공정보다 회로선 폭을 더 축소한 첨단 공정이다. 1㎚는 10억분의 1m다. 삼성전자의 첨단 파운드리 로드맵상 극자외선(EUV)이 처음 도입될 7나노의 직전 공정이기도 하다.
파운드리는 반도체를 주문받아 생산하는 것을 의미하며 주로 시스템 반도체 생산에 적용된다. 시스템 반도체는 최근 4차 산업혁명 수요와 맞물리면서 메모리 반도체 시장 성장률을 넘어서는 등 급성장하고 있다. 파운드리 시장 내 삼성전자 입지는 지난해 말 기준 시장점유율 7.9%로 4위 수준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2016년 10월 업계 최초로 10나노 제품 양산을 시작했다.
그간 양산을 통해 축적한 공정 노하우를 바탕으로 8나노 공정 수율도 빠르게 안정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삼성, 8나노 파운드리 공정 개발 완료
입력 2017-10-18 1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