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세훈(사진) 전 국가정보원장이 국정원의 ‘김대중 전 대통령 노벨 평화상 수상 취소 작전’에 깊숙이 개입한 사실이 16일 새롭게 드러났다. 국정원 개혁발전위원회에 따르면 국정원 심리전단은 2010년 3월 보수단체 ‘자유주의진보연합’을 내세워 김 전 대통령의 노벨 평화상 수상 취소 요구 서한을 ‘노벨위원회’에 발송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당시 원 원장 등 지휘부에 친전 형태로 보고했다.
같은 달 자유주의진보연합 최진학 대표 명의로 ‘김대중의 노벨 평화상 수상은 취소돼야 합니다’라는 제목의 서한이 게이르 룬데스타트 당시 노벨위원회 위원장에게 발송됐다. 영문 서한 발송과 관련해 번역비와 서한 발송비 등 300만원은 국정원 예산으로 집행됐다.
최 대표는 서한에서 “김대중씨의 노벨상 수상 계기는 2000년 6월 성사됐던 남북 정상회담이었지만 이는 북한의 독재자 김정일에게 천문학적인 뒷돈(5억 달러)을 주고 이뤄낸 정치적 쇼였다는 것이 이미 드러난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그 근거로 외국환거래법 위반 혐의로 임동원 전 통일부 장관과 박지원 전 문화관광부 장관이 유죄를 선고받은 사실이 언급했다.
또 정상회담을 목적으로 북한에 전달된 거액이 북한의 무기 구입에 쓰였다는 정보도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뇌물과 불법으로 얼룩진 그의 노벨상 수상이 노벨재단의 명예에도 타격을 입혔다”고 주장했다. 최 대표는 서한의 근거 자료로 같은 주장을 담은 도널드 커크 전 외신 특파원의 저서 ‘Korea Betrayed(배신당한 한국)’를 첨부하는 치밀함까지 보였다. 개혁위는 관련 내용을 검찰 수사자료로 지원하도록 국정원에 권고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보수단체 ‘노벨상 취소 요구 서한’ 계획 원세훈에 보고
입력 2017-10-16 2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