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정당, 보수대통합·자강 ‘갈림길’ 내달 초순이 이혼 적기?

입력 2017-10-15 19:45 수정 2017-10-15 19:49
서울 여의도 바른정당 당사에서 15일 열린 '보수통합 무엇이 문제인가' 긴급진단 토론회에서 패널로 참석한 인사들이 발표하고 있다. 왼쪽부터 임승호 고려대 교수, 홍진표 시대정신 상임이사, 박명호 동국대 교수, 유창선 정치평론가, 이지현 바른정책연구소 부소장. 뉴시스
바른정당이 ‘보수 대통합’과 ‘자강(自强)’의 갈림길에 서 있다. 분열을 막으려는 노력이 있지만 통합파와 자강파의 간극을 메우긴 쉽지 않아 보인다. 올해 1월 24일 창당한 바른정당이 10개월도 못 채우고 공중분해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헤어지는 타이밍을 정하는 문제만 남았다”는 얘기까지 흘러나온다.

의원 수가 20명인 바른정당은 정확히 반(半)으로 갈라져 있다. 국민일보가 15일 전화 취재 등을 통해 분석한 결과 통합파와 자강파는 각각 10명으로 분류됐다.

바른정당 통합파들은 “문재인정부에 맞서기 위해서는 보수가 더 이상 분열돼서는 안 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현 정부의 위험한 대북 정책과 포퓰리즘을 막기 위해서는 보수 단일대오를 구축해야 한다는 논리다. 내년 지방선거도 빼놓을 수 없다. 가뜩이나 지방선거 전망이 어두운데, 보수가 갈라져서 치르면 참패할 것이라는 위기의식이 퍼져 있다.

자유한국당의 ‘박근혜 지우기’ 노력도 영향을 미쳤다. 한국당은 17∼18일 윤리위원회를 열고 혁신위원회의 권고대로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해 자진탈당 징계를 내릴 것이 확실시된다.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박근혜 출당’으로 보수 대통합의 전제조건이 마련됐다는 게 통합파의 입장이다. 김무성 의원을 필두로 주호영 당대표 권한대행(원내대표) 이종구 김영우 김용태 황영철 정양석 의원 등이 통합파의 핵심 멤버다.

한 통합파 의원은 “원내교섭단체가 깨지고, 국고 보조금이 분기당 15억원에서 5억원대로 확 줄어들 경우 자강파 중에서도 바른정당을 탈당하는 의원들이 속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강파 의원들의 생각은 완전히 다르다. 보수 대통합은 허울일 뿐 통합파 의원들이 자기 살 궁리를 위해 ‘개혁 보수’ 명분을 버리고 한국당과 손을 잡는다고 비판한다.

지방선거 전망과 친박(친박근혜) 청산에 대한 평가도 정반대다. 한 자강파 의원은 “한국당과 손잡으면 지방선거를 이길 수 있는가”라고 반문했다. 다른 의원은 “한국당은 전혀 변한 게 없다”면서 “친박 정당에다가 꼴통·극우·막말 정당 아니냐”고 비판했다. 유승민 의원을 축으로 정병국 이혜훈 전 대표, 김세연 하태경 유의동 박인숙 지상욱 의원 등이 자강파로 분류된다.

분열을 막기 위해 ‘전당대회 연기론’이 중재안으로 등장했다. 11월 13일로 예정된 전당대회를 미뤄 냉각기를 갖자는 주장이다. 자강파 의원들만 당권에 도전하는 전당대회가 분열의 촉매제 구실을 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그러나 유승민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전당대회를 연기하자는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의원들이 합의해서 시기를 정한 전당대회를 미루자는 것은 약속 파기”라고 말했다.

통합파 내부에서는 ‘통합 시기’ 문제를 놓고 이견이 노출됐다. 통합파의 일부 의원들은 바른정당 전당대회 후보 등록 시작일(26일) 이전에 “탈당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국정감사가 변수다. 자칫 국감 기간에 보수 대통합을 추진했다가 민생 문제를 소홀히 하고 문재인정부 문제점을 추궁할 기회도 놓쳤다는 비난이 부담이다. 속도 조절론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 통합파 의원은 “서두를 필요 없다”고 말했다. 통합파 중진들은 국감(31일) 이후와 전당대회 이전 타이밍을 선호하고 있다. 11월 초순이 ‘최적의 시기’라는 것이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