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7중 전회 폐막, 포스트 시진핑은 측근 대신 후춘화?

입력 2017-10-16 05:00

중국 공산당이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지도이념이 담긴 것으로 보이는 당장(黨章·당헌) 수정안을 채택함에 따라 ‘시진핑’ 이름이 당장에 명기될지 주목된다. 중화권 언론에선 시 주석이 당 주석까지 맡아 권력을 한층 강화하는 대신 후춘화 광둥성 서기를 후계자로 하는 ‘빅딜’이 이뤄졌을 것이란 관측도 제기됐다.

신화통신은 중국 공산당 18기 중앙위원회 7차 전체회의(18기 7중전회)가 14일 폐막했다고 보도했다. 7중전회는 오는 18일 개막하는 19차 당대회에 제출할 집권 1기 성과보고와 중앙기율검사위원회의 업무보고, 당장 수정안을 심의해 통과시켰다.

당장 수정안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공보에 없지만 시 주석의 ‘치국이정(治國理政·법에 의한 국가운영)’ 통치이념이 포함됐을 것으로 보인다.

공보에는 중앙정치국이 “마오쩌둥 사상과 덩샤오핑 이론, ‘삼개대표’ 중요사상, 과학적 발전관을 지도이념으로 견지하고, 시진핑 총서기의 연설 정신과 치국이정 신이념 신사상 신전략을 착실히 이행했다”고 명기돼 있다.

실제 ‘마오쩌둥 사상’과 ‘덩샤오핑 이론’처럼 ‘시진핑 사상’이나 ‘시진핑 이론’이 당장에 명기된다면 시 주석의 권위가 한층 높아져 ‘1인 지배체제’가 획기적으로 강화될 전망이다. 상하이대 천다오인 교수는 “당 중앙이 혼선을 거듭하고 있어 시진핑이란 이름이 당장에 들어갈지는 당대회가 끝나야 알 수 있을 것 같다”고 홍콩 언론 인터뷰에서 말했다.

7중전회는 부패혐의로 낙마한 쑨정차이 전 충칭시 서기, 우아이잉 전 사법부장, 황싱궈 전 톈진시 시장, 왕젠핑 전 중앙군사위원회 연합참모부 부참모장 등 기율위반자 12명에 대해 당적 박탈 조치를 취했다고 확인했다. 또 추이보 닝샤자치구 부서기와 수샤오친 국가신방국 국장, 마순칭 닝샤자치구 부주석, 왕젠쥔 칭하이성 성장, 리창 장쑤성 당서기, 천우 광시장족자치구 부서기 겸 주석, 천밍밍 구이저우성 부성장, 자오리슝 윈난성 부주임 등 11명이 새로 중앙위원에 진입했다.

이번 7중전회에는 중앙위원 191명과 후보위원 141명이 참석했다. 18차 당대회에서 선출된 중앙위원 205명과 후보 중앙위원 171명에서 각각 14명, 30명이 줄어들었다. 이들 대부분은 부패 혐의 및 기율 위반 등 비리로 낙마한 인사들이어서 부패와의 전쟁이 얼마나 강도 높게 진행됐는지 짐작해볼 수 있다.

시 주석의 권력 강화와 후계구도를 둘러싼 빅딜설도 제기됐다. 홍콩 빈과일보에 따르면 미국으로 도피한 뒤 중국 고위층 비리를 폭로해 온 궈원구이가 자신이 입수했다는 차기 상무위원과 정치국원 명단을 트위터에 올렸다. 7명의 상무위원은 시 주석과 리커창 총리, 왕양 부총리, 한정 상하이시 서기, 후춘화 광둥성 서기, 리잔수 당 중앙판공처 주임, 천민얼 충칭시 서기 등이다. 새 인물의 직책은 왕양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한정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 후춘화 당 중앙서기처 제1서기 및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리잔수 중앙기율검사위 서기, 천민얼 국무원 부총리로 돼 있다. 시 주석은 마오쩌둥이 거의 유일했던 당 주석직까지 함께 맡을 것으로도 예상됐다.

이 가운데 후춘화가 중앙군사위 부주석이 될 것이란 점이 눈에 띈다. 2010년 시 주석이 차기 지도자로 낙점됐을 때 맡은 자리가 중앙군사위 부주석이어서 후춘화가 차기 지도자로 낙점되는 게 아니냐는 추측을 낳는다. 이 명단은 계파 간 타협의 산물이며 이런 구도가 현실화되면 시 주석의 권력은 서서히 약화되면서 3연임은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