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4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한국특파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북핵 리스크만 없었다면 한국의 신용등급이 한 단계 더 올라갔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부총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와 국제통화기금·세계은행 연차총회 참석을 위해 방미하는 동안 무디스, 스탠더드앤드푸어스, 피치 등 3대 국제신용평가사를 찾았다.
김 부총리는 “신용평가사와의 면담에서 가장 많이 나온 질문이자, 가장 먼저 나온 질문이 북한 핵 문제 등 지정학적 리스크였다”며 “이 중 한 회사로부터는 ‘북핵 리스크만 없었다면 한국의 등급이 더 올라갔을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고 소개했다. 그만큼 신용평가사들도 이번 북한의 핵 위협과 한반도 위기상황을 심각하게 보고 있다는 뜻이다.
김 부총리는 부동산 투기 억제 정책과 관련해 “시나리오별로 다양한 대책을 준비하고 있다”며 “정상적 수준을 넘어서는 이상 현상이 나타나면 단호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보유세 인상 문제에 대해선 “부동산 문제가 심각해지고 그 해결책을 검토할 단계가 되면 보유세 인상 가능성을 아주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지만 이를 실행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라고 말해 보유세 인상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김 부총리는 이날 미국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과 양자회담을 갖고 한국이 이달 발표되는 미국의 환율보고서에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이유가 없다는 점을 설명했다.
한편 국제통화금융위원회는 “세계 경제가 회복세를 시현 중이지만 하방위험이 여전하다”며 각국의 지속적인 구조개혁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선언문을 채택했다.워싱턴=전석운 특파원, 정현수 기자
swchun@kmib.co.kr
“북핵 리스크만 없었다면 한국 신용등급 올랐을 것” 김동연 부총리 워싱턴서 간담회
입력 2017-10-15 1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