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국내 원자력발전소 운영 또는 건설 과정에서 사고를 당한 직원의 90%가 협력사 소속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원전시설 25기에서 발생한 고장 건수는 73건이었다.
15일 국민의당 신용현 의원이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운영 및 건설 중인 원자력발전소 산업 안전 사고자 총 121명 중 약 90%에 해당하는 110명이 협력사 직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해당 기간 사망한 7명은 모두 협력사 직원이었다. ‘위험의 외주화’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는 셈이다.
원전 고장도 계속되고 있다. 강효상 자유한국당 의원이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에서 제출받은 ‘원전별 고장 현황’ 자료를 보면 최근 5년간 국내 원전시설 25기에서 총 73건의 고장이 발생했다.
신호 조작체계 고장을 의미하는 ‘계측결함’이 24건(32.8%)으로 가장 많았다. 펌프·밸브 등의 고장인 ‘기계결함’이 16건(21.9%), 자연재해에 의한 ‘외부영향’이 12건(16.4%), 전력공급 하자로 인한 ‘전기결함’이 11건(15.1%), ‘인적실수’가 10건(13.7%)으로 뒤를 이었다. 사람의 실수를 뜻하는 ‘인적실수’에는 안전불감증에서 비롯된 사고가 포함됐다. 지난 3월 월성 4호기 작업자의 핵연료다발 낙하, 지난 8월 신고리 1호기 작업자의 순환수 배수관로 맨홀 추락사 등이 사례다.
잇따른 원전 고장에 원안위는 한 차례도 처벌·제재조치를 취한 적이 없었다. 강 의원은 “원안위의 무사안일한 태도로 사고가 이어지고 있다”며 “고장 발생 시 책임자를 제재하는 등의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원전 사고 당한 직원 90%가 협력사 소속
입력 2017-10-15 1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