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이전 갈등 5∼6곳 이륙도 못하고 날샌다

입력 2017-10-13 05:01
전국 각지에서 군·민간 공항 이전과 건설을 둘러싼 갈등이 잇따르고 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둔 자치단체장들이 부정적 여론을 의식해 행정적 절차와 법적 결정을 미룰 가능성이 커지면서 갈등 장기화 우려가 나온다.

12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경기 수원 군 공항 이전사업의 경우 지난 2월 국방부가 예비 이전후보지로 화성시 화옹지구를 선정한 이후 수원시와 화성시가 전면전에 나서고 있다. 수원시가 이전을 환영하는 반면 화성시는 반드시 저지하겠다며 결사항전의 태세다. 수원시가 추석 연휴 직후인 지난 11일 ‘수원 군 공항 소음영향도 분석결과와 예비 이전후보지 주변 지역 발전방안’을 발표하자 화성시는 즉각 반발했다.

화성시 군공항이전대응대책본부는 성명을 내고 “시민을 기만하는 발표내용에 황당함을 금할 수 없다”며 “수원시는 잘못된 정보를 제공한 점에 대해 사과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이의택 수원시 군공항이전추진단장은 기자회견에서 “화성시 화옹지구 인근 주요 지역이 법에서 정한 소음영향권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연구조사 결과가 나왔다”며 “군 공항 이전에 따른 소음 피해를 최소화 하겠다”고 밝혔다.

예비 이전 후보지로 경북 군위군과 의성군이 선정된 대구공항 통합이전 사업도 분쟁의 씨앗이 되고 있다. 군위군은 지난달 22일 군민 유치 결의대회를 갖는 등 이전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하지만 대구시의 군위군 편들기 논란이 불거지면서 의성군 유치추진위원회는 지난달 27일 개최된 ‘통합신공항 대구시민추진단 발대식’에 불참하는 등 반발하고 있다.

대구시와 시민단체의 의견도 엇갈렸다. 시민단체들은 대구시가 다양한 찬반 여론을 무시하고 공항 통합이전만 강행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대구시는 현실적이고 가능성 높은 방안은 통합이전뿐이라며 맞서고 있다.

광주 군공항 이전사업은 무안과 신안 해남 영암 등 전남지역 이전 예비후보지 4곳 중 2곳의 단체장이 공석으로 사업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광주군공항이전사업단은 이달 중 국방부와 함께 설명회를 갖기로 했지만 싸늘한 반대여론은 여전하다.

김해신공항 건설은 김해시의회가 ‘김해신공항 반대대책위’를 구성한 주민들과 전면 백지화를 내세우며 반대운동을 펼치고 있다. “명확한 소음대책이 없다”는 이유다. 제주2공항 건설사업 역시 지난달 서귀포시가 추진한 설명회가 주민 반대로 무산되고 반대대책위가 국가인권위에 진정서를 제출하는 등 난항에 빠졌다. 반대대책위는 “제2공항 건설로 관광객은 늘지 몰라도 천혜의 자연환경이 크게 훼손될 것”이라고 원점 재검토를 요구했다.

광주·수원·대구=장선욱 강희청 최일영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