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 인식 시스템을 도입한 자동차, 자전거나 휠체어에 부착 가능한 휴대용 전동 모빌리티 등 운송 수단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아이디어 경연 대회가 열렸다.
현대·기아자동차는 12일 경기도 화성 남양기술연구소에서 연구원들이 직접 제작한 신개념 미래 이동수단을 선보이는 ‘2017 R&D 아이디어 페스티벌’을 개최했다. 현대·기아차 연구개발(R&D)본부 연구원들이 팀을 만들어 ‘이동수단(Mobility)’ 관련 아이디어를 직접 제안하고 실물로 제작해 경연을 펼치는 대회로 올해 8회째를 맞았다.
본선에는 총 8개 팀이 진출했다. 이 가운데 대상은 청각장애인을 위한 차량 주행지원 시스템을 제안한 ‘심포니(心+Pony)’팀이 차지했다. 이 시스템은 경적이나 구급차 등 각종 외부 소리가 감지되면 차량 전면에 여러 가지 빛깔로 시각화해 청각장애인이 백미러나 사이드미러로 확인하도록 도와준다. 또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하면 진동으로 주변 교통 상황을 알려주고, 청각장애인의 수화를 음성이나 텍스트로 변경할 수 있는 기능도 있다. 청각장애인 운전자가 늘고 있지만 이들을 위한 사회적 배려는 부족하다는 점에 착안한 작품이다.
‘자율주행시대’에 맞춰 안전·편의장치 ‘자동화’에 초점을 맞춘 아이디어들이 많았다. 자동세차 로봇 시스템 ‘더스트 버스터’는 차량이 주차되면 내부에 탑재된 소형 청소기가 차량을 세차해 주도록 고안됐다. ‘팅커 벨트’는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으면 안전벨트가 자동으로 미끄러져 나와 버클에 장착되도록 했다. 휴대가 가능한 전동 모빌리티 ‘모노토프’는 자전거나 휠체어 등에 부착하면 곧바로 전동 운송수단이 되도록 했다.
이밖에도 생활보조로봇 ‘로모’, 차량 오염을 방지하고 외관을 보호하는 자동 전동차고 ‘셸터’, 안전운전 시스템 ‘착한자동차’, 안전벨트 자동착용 시스템 ‘팅커벨트’, 차량 내부 공간을 자율적으로 변형시키는 ‘플루이딕 스페이스’ 등도 본선에 올랐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수화 번역하고… 탑재 로봇이 스스로 세차
입력 2017-10-12 2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