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리 5·6호기 운명의 열흘… 찬반 오차 범위땐 ‘후폭풍’

입력 2017-10-11 05:00

신고리 5, 6호기 원자력발전소의 운명이 앞으로 열흘 안에 판가름 난다. 공론화위원회는 이번 주말 시민참여단을 대상으로 합숙토론을 진행한 뒤 그 결과를 ‘대정부 권고문’에 담아 20일 공개할 예정이다.

합숙토론은 오는 13일부터 15일까지 2박3일간 천안 교보생명 연수원인 계성원에서 열린다. 합숙 첫날인 13일과 마지막 날인 15일에 각각 3, 4차 여론조사를 실시한다. 사실상 4차 조사가 ‘최종 관문’인 셈이다.

이후 공론화위는 조사 결과를 종합, 분석해 대정부 권고문을 작성한다. 70 대 30, 80 대 20 등 어느 한 쪽으로 크게 쏠린다면 ‘시민의 의견은 ○○로 나타났다’는 식의 단정적인 표현이 들어갈 수도 있다. 문제는 결과가 오차범위 이내로 나왔을 경우다. 공론화위 관계자는 “결과가 오차범위를 벗어난다면 얘기가 쉬워진다”면서 “만약 그렇지 않으면 어떻게 해야 할지는 아직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정부는 그간 공론화 과정에 대해 어떠한 간섭과 개입 없이 공정한 중립 원칙을 지켜왔다”면서 “어떤 결과가 나오든 그 결과를 존중해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국 과학자와 환경보호자들은 신고리 원전 5, 6호기 공론화위 시민참여단에 “원전이 필요하다”고 공개적으로 촉구했다. 미국 청정에너지 연구단체 ‘환경진보’의 마이클 쉘렌버거 대표는 케리 이마누엘 MIT 기상학 교수 등 21명의 명의로 된 서한을 최근 ‘환경진보 한국지부’ 페이스북에 올렸다. 쉘렌버거 대표는 미국 타임지가 ‘환경의 영웅’으로 선정했던 인물이다. 이들은 “한국이 2015년 파리기후협약에서 했던 온실가스 감축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는 원자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조성은 유성열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