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물밑서 정계개편 ‘꿈틀’

입력 2017-10-11 05:00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지도부가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통합포럼 주최 토론회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왼쪽부터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주호영 바른정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 김동철 국민의당 원내대표. 최종학 선임기자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을 중심으로 한 정계개편 움직임이 꿈틀대고 있다. 관건은 양당 의원들의 최종 행선지다. 다만 여야간 서로 다른 이해관계, 각 당의 속사정이 맞물려 정계개편의 구체적 방향성은 여전히 미궁 속이다.

가장 활발한 움직임은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컬래버레이션(협업)’에서 감지된다. 양당 의원 모임인 ‘국민통합포럼’은 10일 선거제도 개편 방향을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에는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와 김동철 원내대표, 바른정당 주호영 대표권한대행(원내대표), 유승민 의원 등 양당 핵심인사들이 총출동했다. 유 의원은 토론회에서 “양당은 나라와 바른 정치, 좋은 정치를 위해 원칙과 가치가 맞다면 언제든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당(40석)과 바른정당(20석)이 당 대 당 통합을 성사시키면 역대 최대 규모의 제3당이 출범, 제대로 된 ‘원내 3강’ 구도가 형성된다. 60석의 중견정당이라면 거대 여야 어느 쪽과도 협상 가능한 몸집을 갖추게 된다. 서로 지역구가 거의 겹치지 않아 선거공학적으로 이상적 조합이라는 분석도 있다.

물론 호남(국민의당)과 영남(바른정당)의 결합이 쉬운 일은 아니다. 국민의당 호남 중진들 사이에선 지역여론 반발과 이념 등을 고려해 당 대 당 통합에 부정적인 시각이 많다. 바른정당의 한 영남 의원은 “국민의당과 통합이 현실적으로 가능하겠느냐”고 말했다.

본격화될 조짐을 보이는 보수 대통합 논의도 변수다. 실현 가능성은 보수 대통합 쪽이 더 높아 보인다. 한국당과 바른정당의 통합파 3선 의원들은 11일 국회에서 ‘보수우파 통합추진위원회(통추위)’ 구성을 논의할 예정이다.

그러나 바른정당 자강파 의원들은 여전히 보수 대통합에 반발하고 있다. 바른정당 김무성 유승민 의원과 주호영 대표 권한대행, 정병국 의원은 지난 9일 보수 대통합을 논의했으나 의견 차를 좁히지 못했다.

여당 속내는 복잡하다. 더불어민주당은 내심 국민의당 흡수를 염두에 두고 있지만 국민의당 호남 의원들과 지역구가 겹치는 당내 ‘예비주자’들의 반발을 무마할 명분이 없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 사진=최종학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