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전문가들 “文대통령 지지율, 연말까지 60%대 유지”

입력 2017-10-10 05:00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집권 초 80%대에서 60%대로 하향 조정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북한 리스크’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향후 지지율 추이는 45% 안팎의 문 대통령 고정 지지층이 이탈할지 여부에 달린 것으로 예상된다. 견고한 고정 지지층이 유지되는 만큼 연말까지 50%대 아래로는 지지율이 하락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최근 문 대통령 지지율 고공행진에 제동이 걸린 이유로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을 꼽았다. 문재인정부가 대화와 제재라는 투트랙 대북 기조를 유지하고 있지만 우리 정부 자력으로 북한 문제를 풀어내기는 어렵다는 측면이 지지율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북한은 노동당 창건 기념일(10일) 즈음이나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가 열리는 오는 18일 전후로 추가 도발을 감행할 것이라는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9일 “북한 문제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여러 국가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만큼 단시간에 풀어내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안보 이슈에 민감한 중도층이 흔들릴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경기침체 회복 여부 등 문재인정부 정책에 대한 평가가 앞으로 본격적으로 시작된다는 점도 지지율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시각이 있다. 살충제 계란, 생리대 파동 등을 거치며 불안감이 커진 중도 지지층이 경기침체 문제를 계기로 이탈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문 대통령 지지율이 60%대 초반까지 밀릴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생활 밀착형 이슈에 민감한 중도층이 등을 돌릴 수도 있다는 얘기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연말까지 경기침체 국면에 변화가 없을 경우 문 대통령 지지율이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며 “문재인정부가 경제 분야에서 차근차근 정책 성과를 보여줄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고 예상했다.

게다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논의와 중국의 사드 보복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만 연말까지 문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이 50%대로 떨어질 가능성은 낮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문 대통령을 지지하는 45% 안팎의 ‘콘크리트 지지층’이 균열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이 지난 대선에서 득표한 41.1%에 일부 새로운 지지층이 이른바 콘크리트 지지층이라는 게 리얼미터의 분석이다.

권순정 리얼미터 조사분석실장은 “대선에서 문 대통령을 지지했던 지지층은 여전히 90%를 넘는 견고한 지지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문 대통령 지지율은 연말까지 60%대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명박정부 국가정보원 등을 겨냥한 정부·여당의 적폐청산 드라이브는 양날의 검이다. 지지층을 견고하게 하지만 보수야당의 반발 여론을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문 대통령 지지율이 이례적으로 높은 지지율을 유지해온 만큼 다시 70%대로 급상승하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많다.

직선제 도입 이후 역대 대통령은 모두 임기 첫해에 지지율 하락에 직면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 지지율은 취임 첫해인 2003년 초 60%대를 기록하다 이라크 파병 문제 등으로 20%대로 급락했으며, 김대중 전 대통령의 경우 취임 첫해인 1998년 초반 70%대에서 후반 60%대로 떨어졌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