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가 기가막혀! 임신부 등에 투약금기 경고 무시 처방

입력 2017-10-09 19:53
최일선 공공보건 기관인 보건소에서 임신부 투약금기 경고를 무시하는 처방이 공공연히 이뤄지는 등 약화 사고가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9일 국회보건복지위원회 전혜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출받은 ‘의료기관 종별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시스템) 정보 제공률’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DUR 팝업 경고가 이뤄진 처방전은 보건소가 11.3%로 상급종합병원(13.1%) 다음으로 많았다. 종합병원 11.1%, 병원 9.6%, 의원 7.3%, 치과 병·의원 5.8%였다.

DUR시스템은 의료기관에서 약 처방할 때 별도의 컴퓨터 화면(팝업창)으로 병용·연령·임신부 금기약물 등의 저촉 여부를 의료진에게 알려줘 안전한 처방과 조제가 이뤄지도록 돕는 장치다.

DUR 정보 제공에 따른 처방 변경률을 보면 보건소가 7.6%로 가장 낮았다. 다시 말해 약물 금기 경고에도 불구하고 약 변경 없이 원래 처방대로 많이 진행했다는 얘기다. 다른 기관 종별 처방 변경률은 치과 병·의원이 47.8%로 가장 높았고 상급종합병원 8.8%, 종합병원 13%, 병원 8.5%, 의원 11.4%로 나타났다.

특히 보건소의 임신부 금기약물에 대한 처방 변경률은 6.2%로 현격히 낮았다. 임신부 금기약물은 태아에 기형이나 독성 등 심각한 위해성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약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처방을 권장하지 않는 항목이다.

전 의원은 “국민보건 향상을 담당하는 보건소가 DUR 정보 제공을 가장 많이 무시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면서 “보건소의 DUR 운영에 대한 실태 파악과 원인 분석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