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국감은 낙동강 전선”… ‘文정부 실정 때리기’로 대응

입력 2017-10-10 05:00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정우택 원내대표. 뉴시스

자유한국당은 추석 연휴 마지막 날인 9일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불거진 안보와 경제 문제들을 집중 거론하며 여권을 압박했다. 12일부터 시작되는 국정감사를 앞두고 여권의 적폐청산 기조에 대응해 문재인정부의 실정을 집중 부각하겠다는 포석이다. 한국당은 여권의 ‘정치사찰’ 의혹까지 제기하며 대여(對與) 투쟁 수위를 높였다.

홍준표 대표는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를 향한 공세를 퍼부었다. 그는 탈원전 정책, 최저임금 인상,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대북 평화 구걸, 공정거래위원회를 통한 기업 압박, 노조공화국 만들기, 소득주도 성장론, 방송장악, 정치보복, 인사참사, 퍼주기 복지, 일자리 대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 등 13가지를 ‘문재인정부 실정(失政)’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출범 5개월밖에 되지 않은 정부가 이토록 많은 실정을 안고 가는 것은 처음 봤다. 이번 국정감사 때 13가지 실정을 국민에게 정확하게 알리고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우택 원내대표도 국정감사와 관련해 “이번 국정감사는 자유대한민국을 지키는 최후의 낙동강 전선”이라며 “김대중·노무현정권의 ‘원조적폐’와 함께 문재인정권의 ‘신(新)적폐’에 대한 진상과 책임 규명을 확실히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당은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북핵 위협과 미국의 통상압력 등이 높아진 상황에서 현 정부의 대응 부실을 집중 공격하겠다는 방침이다. 적폐청산 등 ‘과거’에 집착하는 여권과 달리 ‘미래’를 위한 대안세력임을 부각시키려는 의도도 깔려 있다. 홍 대표는 “문재인정권이 지금 전(前) 대통령에 이어 전전(前前) 대통령까지 정치보복 대상으로 삼고 있다”며 정치보복대책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홍 대표는 이와 함께 자신의 수행비서에 대한 사찰 의혹도 제기했다. 그는 “한 달 전에 내 수행비서에 대한 통신자료 제공내역 조회를 해보니 검찰과 경찰, 군에서 통신자료 조회를 했다. 내 휴대전화는 사용을 (잘) 하지 않으니까 수행비서의 휴대전화만 (조회)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국당이 공개한 홍 대표 수행비서의 휴대전화 통신자료 조회 기록에는 지난해 말부터 올해 8월까지 총 6차례 경찰과 검찰, 군이 이동통신사에 홍 대표 수행비서의 전화번호,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이동통신서비스 가입일과 해지일 등을 조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이뤄진 조회는 8월 7일 서울중앙지방검찰청, 8월 21일 육군본부 요청에 의한 조회 2건이었다. 나머지 조회 4건은 박근혜정부 시절 이뤄졌다. 강효상 대변인은 “관계기관은 통신자료 제공 사실이 어떤 연유에서 벌어진 것인지 밝혀야 한다”며 “통신자료 조회 사실이 추가로 확인될 경우 야당에 대한 당국의 광범위한 사찰이라고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종혁 최고위원도 “입만 열면 민주주의를 말하는 문재인정부가 제1야당 대표의 통신기록을 들춰봤다는 것 하나만으로 국민적 타도의 대상”이라고 말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