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 내각의 ‘마지막 퍼즐’인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 장관 후보자 지명이 늦어지고 있다. 청와대 측은 시간에 쫓겨 ‘인사 참사’를 반복하기보다 철저한 검증에 무게를 두겠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9일 “복수의 중기부 장관 후보군을 놓고 정밀검증 중”이라고 밝혔다. 박성진 전 중기부 장관 후보자가 낙마한 지 24일이 지났지만 아직 적임자를 찾지 못했다는 의미다. 검증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면 실제 후보자 지명까지는 1∼2주 정도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후보자가 지명되더라도 국회 청문 절차를 고려하면 실제 임명은 다음달 중순쯤 가능하다.
16일로 예정된 중기부 국정감사는 장관이 공석인 상태로 치러진다. 하마평에는 윤호중·김병관 더불어민주당 의원, 중소기업청장 출신인 한정화 한양대 교수와 대선 캠프 출신인 이무원 연세대 교수가 오르내린다.
중기부 장관 후보자 지명이 지체된 이유는 검증작업 때문이다. 재차 ‘인사 참사’가 벌어질 경우 청와대 인사라인 책임론이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후보군 자체가 협소한 것도 인선이 지체되는 원인 중 하나다. 벤처업계 인사 대부분은 주식백지신탁 문제, 국회 청문회에 상당한 부담을 느끼며 후보직을 고사하고 있다고 한다. 청와대는 앞서 “중기부 장관 인선을 위해 접촉한 인사 중 박 전 후보자가 27번째”라고 밝힐 정도로 구인난에 시달렸다.
이유정 전 헌법재판관 후보자의 후임 인선은 마무리 단계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대통령 몫의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헌법재판소장 후보자로 지명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헌법재판관 인선이 마무리돼 곧 발표할 것”이라며 “헌재 소장 지명은 재판관 인선과 별개다. 김이수 헌재소장 대행체제가 당분간 유지될 것”이라고 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靑 “복수의 중기부 장관 후보 정밀 검증”
입력 2017-10-10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