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국정원, DJ 서거 후 노벨상 취소 청원 모의 의혹

입력 2017-10-08 22:32
국가정보원이 보수단체를 앞세워 ‘김대중 전 대통령의 노벨 평화상 수상 취소’ 방안을 추진한 정황이 포착돼 검찰이 수사에 나섰다.

8일 사정 당국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수사팀은 이명박정부 시절 국정원 심리전단 직원 A씨가 보수단체 간부 B씨와 주고받은 이메일을 최근 확보했다. 이메일 분석 결과 이들은 김 전 대통령 서거 후 그가 받았던 노벨 평화상 취소를 청원하는 방안을 상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으로는 노르웨이 노벨위원회에 김 전 대통령의 수상 취소 청원서를 신청하는 방식이 거론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김 전 대통령 서거 후 야권을 중심으로 추모 분위기가 고조되고 정부 비판 여론이 커지자 국정원이 심리전에 나섰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B씨가 속한 보수단체는 김 전 대통령 서거 직후 “김 전 대통령은 지역감정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반헌법적 6·15 공동선언을 통해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훼손했다” “노벨 평화상을 받기 위해 부정한 공작과 거래를 자행했다는 의혹을 받는 사람”이라는 논평을 냈다.

검찰은 관련자를 소환해 사실 여부를 확인할 방침이다. 같은 시기 유포된 “김 전 대통령 때문에 북한 핵이 완성됐다”는 내용의 합성사진과의 연관성도 살필 계획이다.

김 전 대통령의 3남인 김홍걸 더불어민주당 국민통합위원장은 페이스북에 “그런 어이없는 공작이 있었을 것이라곤 상상 못했지만 노벨상 수상 전에도 야당인 한나라당 측 사람들이 온갖 방해 공작을 했다. 충분히 그런 짓도 할 수 있는 사람들”이라고 적었다. 김 위원장은 또 김 전 대통령 국장 당시 “이명박정부가 문상 기간을 축소하려 하고 국립서울현충원에 모시는 것도 ‘자리가 없다’며 다른 곳을 찾으라 권했다”고 폭로했다.

신훈 정건희 기자 zorb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