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연휴 국민들을 불안하게 만든 부산항 ‘붉은 불개미’에 대해 정부가 정밀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해양수산부와 부산항만공사, 농림축산식품부 등으로 구성된 정부 비상대책본부는 합동조사단이 9일부터 소위 ‘살인 개미’로 알려진 붉은 불개미에 대한 정밀조사에 나선다고 8일 밝혔다. 합동조사단에는 정부부처의 검역 및 해충관련 부서가 참여하고 대학교수 등 외부전문가들도 동행할 예정이다.
앞서 비상대책본부는 지난달 28일 부산항 감만부두에서 붉은 불개미 25마리가 발견되자 긴급 방역에 나서 29일 1000여 마리의 붉은 불개미를 추가로 발견해 제거했다. 이어 부산과 인천 등 전국 34개 항만에 예찰트랩(덫) 3500여개를 설치하고 박멸에 나섰으나 현재까지 더 이상 붉은 불개미는 발견되지 않았다.
비상대책본부는 붉은 불개미가 처음 발견된 감만부두의 반출차량 소독에 대해 “전문방제업체가 소독조치 후 반출하고 있으며, 농림축산검역본부와 부산항만공사가 합동으로 관리·감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수출입 컨테이너를 통한 내륙 확산을 막기 위해 경남 양산과 경기도 의왕의 내륙컨테이너기지에 대해 합동 정밀조사를 실시 중이다.
하지만 정부의 검역 시스템 자체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붉은 불개미는 이미 1996년 당국에 의해 관리해충으로 지정됐지만 이번에 부산항에서 발견됐다. 전문가들은 해외 병해충 검역시스템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현행 시스템 하에서 해충의 검역은 ‘식물방역법’에 근거해 식물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식물이 아닌 물품을 통해 들어오는 해충은 검역망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해외 해충의 국내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하기 힘들다는 얘기다.
이와 관련 인터넷 등에는 붉은 불개미와 관련한 해외의 피해 경험담 등이 확산되면서 국민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네티즌들은 “붉은 불개미의 유입 및 확산경로를 철저히 조사해 공개하라”며 “붉은 불개미가 얼마나 위험한 곤충인지에 대한 정보도 제대로 알려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붉은 불개미의 ‘부산항 도발’… 1000여 마리 퇴치
입력 2017-10-08 1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