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파른 임금인상, 취약한 물류·인프라… 개성공단 철수 기업들 해외서도 고전

입력 2017-10-08 17:21 수정 2017-10-08 20:35

지난해 2월 개성공단 가동이 전면 중단된 이후 동남아시아에 대체 공장을 마련한 입주업체들의 경영 상황이 크게 어려운 것으로 조사됐다.

더불어민주당 박병석 의원이 8일 공개한 통일부 내부 보고서 ‘개성공단 입주업체의 해외 공장 경영 상황’에 따르면 개성공단 입주업체 중 해외 공장을 운영 중인 기업은 51개사로 이들이 마련한 대체 공장은 74곳이다. 이 가운데 개성공단 폐쇄 이후 해외에 진출한 기업은 34개사다.

통일부는 지난 8월 27일부터 9월 1일까지 베트남과 캄보디아에 조사단을 파견해 실태 파악에 나섰다. 그 결과 해외 대체 공장의 가장 큰 문제는 임금인상이었다. 캄보디아와 베트남의 월평균 임금(200∼300달러)은 중국과 개성공단 임금의 중간 수준이다. 그러나 두 나라 모두 임금이 매년 10∼20%씩 상승하고 있다. 특히 경제성장률이 연 7%에 달하는 베트남은 향후 중국의 가파른 인건비 정책을 답습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서는 예상했다.

이외에도 캄보디아는 물류 및 인프라가 인근 동남아 국가보다 취약해 물류비용이 과다하게 소모되는 문제점도 지적됐다. 때문에 캄보디아 방문 기업 4곳 중 3곳은 공장 철수를 심각하게 고려 중이다. 동남아에 진출한 제조업종의 자금압박 문제도 심각했다. 대체 공장 신설, 근로자 숙련도 향상 등을 고려할 때 최소 2년간 수익 발생이 어려운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몇몇 기업은 자금 사정이 악화돼 추석 전까지 정부확인 피해금액 지원 및 국책은행 긴급대출 등을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북한은 개성공단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면서 재가동을 기정사실화했다. 북한은 이날 대외선전매체를 통해 “개성공업지구는 우리 주권이 행사되는 지역이고 우리가 무엇을 하든 괴뢰들이 상관할 바가 아니다”라며 “공장들은 더욱 힘차게 돌아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우리 정부를 향해 “개성공업지구와 관련해 이러쿵저러쿵 논할 자격을 상실한 지 오래”라고 비난했다. 개성공단 내 시설과 장비는 모두 남측 소유지만 현재 남북 간 연락 채널이 끊겨 북측의 무단 가동을 막을 방법은 없다. 개성공단기업협회는 오는 11일 긴급대책회의를 열기로 했다.

노용택 권지혜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