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정치테마株로 157억 챙긴 33명 적발

입력 2017-09-28 18:21
지난 대선을 틈타 정치테마주를 불공정거래해 157억원의 이득을 챙긴 이들이 금융감독 당국에 덜미를 잡혔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1월부터 7월까지 정치테마주 특별조사반을 운영한 결과 33종목에서 불공정거래 혐의를 발견, 위반자 33명을 고발 등 조치했다고 28일 밝혔다.

테마주로 가장하기 위해 ‘위장 영입’까지 벌인 사례도 있었다. A사 대표이사이자 최대주주 B씨는 지난해 9월 대선출마가 예상되던 C씨의 관련 인사 D씨를 회사 임원으로 위장 영입했다. 이로써 A사 주가가 3배 이상 오르자 차명 주식을 매도해 부당이득 101억원을 남겼다. D씨는 영입된 뒤 회사에서 아무 업무도 수행하지 않았다.

이번 대선에서는 관련 풍문을 유포해 시세 차익을 남긴 사건의 비중이 크게 증가했다. 2012년 18대 대선 당시 9.6%에 불과했지만 이번 대선에서는 26.7%로 늘었다. 주식을 매집한 뒤 인터넷 게시판 등에 근거 없는 글을 게시하고 나서 주가가 오르면 가진 주식을 매도하는 방식이다.

‘초단기 단주 시세조종’ 방식도 이용됐다. 일정 규모의 정치테마주를 선매수한 뒤 5분 이내의 짧은 시간 동안 1∼10주의 고가 주문을 수백 번 반복해 제출하는 방법이다. 상한가를 형성한 뒤 매매거래를 유인하는 ‘상한가 굳히기’ 수법도 있었다.

조사 대상이었던 정치테마주 147개 주가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일인 3월 10일 이후 대선 구도가 본격화하면서 급상승했다. 그러나 대선이 가까워지며 추락, 4·13총선 직전 수준으로 떨어졌다. 대선일 이후 지난달 31일까지 시장지수는 2.7% 상승했으나 정치테마주 주가는 대선 전일 대비 4.0% 하락했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