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홍준표 대표, 국가와 국민 위한 정치 펼쳐야

입력 2017-09-28 17:29 수정 2017-09-28 21:25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가 28일 국군의 날 기념식에 불참했다. 대통령과 5부 요인, 여야 4당 대표까지 총출동한 자리였다. 안보 정당을 자임해온 한국당 대표가 국군의 날 행사에 불참한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홍 대표는 전날 대통령과 여야 대표 회동에도 참석하지 않았다. 지난 7월과 마찬가지로 ‘들러리를 서기 싫다’는 게 이유였다. 국정상설협의체 참여도 거부했다. 앞으로도 청와대의 각종 대화 제의에 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독자 행보를 통해 제1야당으로서의 존재감을 부각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야당이 청와대와 여당의 손짓을 거부할 수 있다. 안보 문제에서 다른 목소리를 내는 것도 정상적이다. 정부여당이 ‘적폐세력’으로 공격하고 있기에 더욱 그러하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사뭇 다르다. 한치 앞도 내다보기 힘든 초유의 안보 위기 국면이다. 정당의 이해득실을 따지고 있을 만큼 한가하지 않다. 안보를 가장 중시하는 제1야당 대표가 안보 회동을 거부한 것은 자충수에 가깝다. ‘전혀 다른 안보관을 가졌다’는 불참 사유는 궁색하기 그지없다. 단독 회동 운운하며 모양새를 따진 것 또한 비판 대상이다. 입만 열면 안보 문제에서만큼은 초당적 협력을 외쳐온 보수정당의 대표가 취할 자세가 아니다.

홍 대표는 다음 달 하순 미국을 방문한다고 한다. 당론으로 정한 전술핵 재배치 필요성을 미국 조야에 직접 전달하겠다는 것이다. 배치 정당성 여부를 떠나 전술핵 재배치는 고도의 판단력과 정밀한 외교력이 요구되는 국가 차원의 정치군사적 행위다. 행위 주체인 정부와 사전 협의는 거부한 채 일방적으로 요구하고 나설 사안이 아니다. 미국 행정부조차 부정적 입장을 피력한 점을 고려할 때 홍 대표 방미 결과는 불을 보듯 뻔하다. 독자 행보를 통한 존재감 부각보다 중요한 것은 국가와 국민의 이익이다. 고립만 계속 고집한다면 국민들로부터 고립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