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여야 4당 대표와의 회동에서 “정치보복은 저도 단호하게 반대한다”며 “전 정부에 대한 기획 사정을 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열린 여야 4당 대표와의 만찬회동에서 최근 전 정부에 대한 정치보복이 이뤄지는 것 아니냐는 주호영 바른정당 대표 권한대행의 발언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정치보복을 경험해봐서도 그렇고 저도 체질적으로 정치보복에 반대한다”며 “적폐 청산이 혹시라도 정치보복 우려로 비치는 것에 대해선 귀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개별 비리들이 불거져 나오는데 수사를 막을 수는 없다”며 “제가 주장하는 적폐청산은 개인에 대한 처벌이 아니라 불공정, 특권, 그런 구조를 바꾸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 내 외교안보라인에 불협화음이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정부가 똑같은 목소리를 낼 필요가 없다”며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과 국무부 장관, 국방부 장관 등이 다 다르게 얘기하는데 이를 전략적이라고 평가하면서 국내는 왜 엇박자라고 하느냐”고 말했다. 이어 “통일부는 대화를 주장할 수 있고 국방부는 제재와 압박을 주장하고, 국가정보원과 외교부는 다른 목소리를 내면서 좀 더 긍정적인 힘을 발휘할 수 있다고 본다”고 했다. 야당이 주장해온 정부 외교안보라인 교체는 있을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4개월 동안 많은 일이 벌어졌기 때문에 부족함은 좀 양해해 달라”고 이해를 구했다.
앞서 청와대 상춘재에서 열린 회동은 야당 대표들의 정부 외교안보 정책 비판으로 시작됐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세계는 한국 사람들이 핵 위협에 둔감하다고 수군댄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 국민도 겉으로 드러내지 않지만 무척 불안해한다”면서 “우리 외교안보팀 내부의 혼선까지 겹쳐지니 더욱 불안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주 권한대행은 “북한이 3대에 걸쳐 집요하게 핵을 개발한데 반해 우리는 대통령들이 짧은 임기를 거치며 ‘내 임기 내 아무 일 없으면 된다’고 관리하다 이렇게 됐다”며 “대한민국 안보의 대실패로 규정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회동이 본격화되면서 심도 깊은 논의가 이어졌고 초당적 협력 필요성에 대한 폭넓은 공감대가 이뤄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회동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일정한 공감대가 생겼다. 최대공약수를 뽑아내 구체화한 뒤 공동발표문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과 정당 대표 간 청와대 회동에 대한 공동발표문이 채택된 것은 박근혜정부 시절인 2015년 3월 이후 2년6개월 만이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정치보복 반대… 前 정부 기획사정 안돼”
입력 2017-09-28 0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