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여야대표 “안보 초당적 협력”

입력 2017-09-27 21:45 수정 2017-09-28 00:18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오후 청와대 상춘재에서 여야 4당 대표와 만찬 회동을 한 뒤 ‘청와대 지하벙커’로 불리는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위기관리센터를 방문해 시설을 소개하고 있다. 왼쪽부터 주호영 바른정당 대표 권한대행,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문 대통령,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이정미 정의당 대표.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4당 대표가 청와대에서 회동하고 한반도 안보 위기 타개와 평화구축을 위한 5개항에 합의했다. 특히 안보와 국정 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여야정 국정 상설협의체를 조속히 구성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특히 문 대통령은 야당 대표들이 제기한 인사 논란 등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 문 대통령은 “일부 인사의 경우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은 것은 유감”이라고 말했다. 유례없는 다당제 속에서 국회와의 관계에 어려움을 겪었던 문재인정부가 협치의 발판을 만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문 대통령은 27일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주호영 바른정당 대표 권한대행, 이정미 정의당 대표를 청와대로 초청해 한반도 안보 상황을 논의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가 주도할 수 없는 여건 속에서 주변 상황 때문에 평화가 위협받고, 국민 안전까지 위협받지 않을까 걱정이 많다”면서 “안보상황 때문에 살아나고 있는 경제도 다시 발목 잡히지 않을까 걱정이 많이 된다. 초당적 대처가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안보 문제만큼은 여야, 정부가 함께 힘을 모으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국민께 희망이 되고 경제에도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과 여야 4당 대표는 2시간10분간 회동한 후 안보협력 및 협치를 위한 5개항에 합의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과 4당 대변인은 춘추관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위중한 한반도 안보 상황을 타개하고 평화를 회복하기 위해 초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공동발표문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을 강력히 규탄하고, 북한이 평화와 비핵화의 길로 나올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를 철저히 이행하고, 한·미동맹을 통한 대북 억지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한반도 전쟁 방지 및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한 국회의 초당적 역할과 이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지원, 조속한 여야정 국정협의체 구성에도 합의했다. 공동발표문은 박 대변인과 박완주 더불어민주당, 손금주 국민의당, 정양석 바른정당 원내수석부대표, 주혜선 정의당 대변인이 각 항목별로 나누어 발표했다.

문 대통령은 주 권한대행이 공직 배제 5대 원칙 등을 지적하자 “그 점에 있어서는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면서도 “5대 원칙은 큰 틀의 원칙이고, 그를 적용하는 세부 기준은 지금 만들고 있다. 국회에서도 그런 것에 대해 잘 만들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문 대통령도 솔직담백하게 유감을 표명해야 할 부분은 유감을 표명하고 부족한 점들은 부족한 점대로 인정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이 취임 이후 여야 지도부와 회동한 것은 지난 5월, 7월 이후 세 번째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는 지난 7월에 이어 이번에도 불참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