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청와대에서 여야 4당 대표를 만났다. 5월 19일 5당 원내대표, 7월 19일 4당 대표와의 회동에 이어 세 번째다. 예정보다 긴 135분 동안이나 진행됐다. 위중한 한반도 안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초당적 대처를 담은 5개항의 합의문까지 도출했다. 북한 핵·미사일 도발을 규탄하며 북한이 평화와 비핵화 길로 나올 것을 촉구했다. 또 한·미동맹 및 대북 억지력 강화에 인식을 같이했다. 안보 현안을 평화적으로 해결한다는 원칙도 재확인했다. 한반도 인식 공유를 넘어 합의문까지 도출해냄으로써 상당히 의미 있는 회담으로 평가된다.
문 대통령이 여야 4당 대표와 함께 국가위기관리센터 지하벙커를 방문한 점도 눈에 띈다. 전례를 찾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한반도 상황의 엄중함을 전하는 동시에 초당적 대처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포석이다. 대통령과 여야 지도자가 안보 문제에 있어 다양한 의견을 교환한 만큼 향후 정부 대처에 상당한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다만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불참한 점은 부담으로 남게 됐다.
합의문에 표현된 것처럼 한반도는 초유의 안보 위기 상황이다. 한반도에서 당장 군사적 충돌이 있어도 하나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다. 최대 피해자는 대한민국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러기에 대통령과 여야 정치 지도자들이 더욱 자주 만나야 한다. 형식에 구애받을 필요가 없다. 청와대가 아닌 국회에서 만나 의견을 주고받아도 될 것이다. 도움이 된다면 야당 지도자들을 개별적으로 만나는 것도 적극 검토해봄직하다. 홍 대표가 주장하는 단독 회동을 마냥 거부할 이유가 없다.
대통령 취임사 속에 잠자고 있는 협치도 끄집어낼 때가 됐다. 여소야대 다당제 구조 속에서 여당 단독으로는 사실상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야당의 협조가 절대적이다. 그러기에 국정상설협의체를 조속히 구성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한 것은 평가할 만한 진전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선 청와대와 여당이 야당에 진정성 있게 다가서야 한다. 한켠에선 적폐세력 취급하고 다른 쪽에선 협조를 요구하면 협치가 될 턱이 없다. 또 일회성 회동으론 협치의 기반을 마련하기 힘들다. 야당은 민생 분야에선 앞장서서 협조하는 대승적 자세가 필요하다.
[사설] 안보 문제만큼은 여야가 협력 모색해야
입력 2017-09-27 21:22 수정 2017-09-28 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