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한 향후 10년 청사진을 내놨다. 2026년까지 매출 규모 1조원 이상인 국산 블록버스터 신약 5개를 내놓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7일 제29회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를 열어 3차 생명공학육성 기본계획(2017∼2026년)을 확정·의결했다. 8개 관련 부처는 지난해 8월 첫 회의 이후 1년간 100여명의 전문가와 현장 의견을 수렴해 이번 계획을 마련했다.
정부는 지금까지 85개가 나온 글로벌 신약 후보물질을 2026년까지 신규로 100개 더 발굴하고 1조원대 매출을 내는 블록버스터 신약 5개를 창출키로 했다. 이를 위한 연구·개발(R&D)에 10년간 5000억원을 투입한다. 세계 바이오 시장 점유율을 현재 1.7%(생산액 27조원)에서 2025년 5%(생산액 152조원)까지 높이는 게 목표다.
정부는 아울러 바이오 기술 기반 신규 일자리 12만명을 창출할 방침이다. 2015년 2만6000명에 불과했던 이 분야 종사자를 2025년까지 14만5000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치매와 감염병, 먹거리 안전, 미세먼지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바이오 R&D 건수를 같은 기간 7000건에서 1만건으로 늘린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국산 블록버스터 신약 2026년까지 5개 창출
입력 2017-09-27 1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