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식사 직후’ 드세요” 서울대병원 복약기준 변경

입력 2017-09-28 05:00
“식사 후 30분에 약 드세요”라는 약사의 안내가 사라질까. 서울대병원이 약 처방 시 복용 기준을 ‘식사 후 30분’에서 ‘식사 직후’로 바꾸기로 했다. 환자가 30분을 기다리는 부담을 갖거나 아예 약 먹는 걸 잊어버리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 병원 약사위원회는 27일 “식사 후 30분으로 통용되는 복약 기준이 의학적 근거가 부족하고 다른 나라에서도 이런 복약 기준을 따르지 않는다”며 변경 취지를 밝혔다. ‘식사 후 30분’이란 복약 기준을 변경한 대형병원은 서울대병원이 처음이다.

환자에게 처방하는 약은 종류와 성격에 따라 식후·식전·취침 전 등 3가지 방식으로 복약지도가 이뤄진다. 이번 변경은 식후 방식만이다. 식후에 먹어야 하는 약은 음식과 함께 먹을 때 약 효과가 높아지거나 위 점막 등을 보호할 필요가 있는 종류다. 반대로 음식물이 약 흡수를 방해하거나 빈속에 먹을 때 효과가 나타나는 약은 식전에 먹어야 한다. 취침 전 먹는 약은 변비약처럼 아침 배변 효과를 기대하거나 졸음을 부르는 항히스타민제가 포함돼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을 때 권장한다.

보건복지부는 서울대병원의 복약 기준 변경이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약사법에 복약 설명 의무가 규정돼 있으나 법으로 정해진 복약 기준은 없기 때문이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