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과정을 밝히기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한 전용게시판을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과정을 조사하기 위해 꾸려진 역사교과서 진상조사팀이 오는 11월 30일까지 게시판을 운영한다. 제보자를 보호하고 제보를 활성화하기 위해 조사팀 관리자 한 명만 열람 가능토록 했다. 제보 내용과 제보자 신분은 비밀로 유지한다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국정화와 관련된 사안이면 무엇이든 제보 가능하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제보 내용을 진상조사에 반영하거나 참고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하지만 교육부 안팎에선 ‘코미디’란 반응이 나온다.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박근혜정부 청와대의 하명을 받아 교육부가 수행했다. 교육부 관료들이 추진 과정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팀에는 박근혜정부에서 국정화 추진을 도왔던 실무진이 있다. 심지어 국정화 추진 당시 청와대 교육비서관으로 근무했던 교육부 핵심 간부는 진상조사위 당연직에 포함돼 있다. 진상조사팀이 구성될 때 ‘셀프 조사’란 비판이 쏟아진 이유였다. 황우여·이준식 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나 김재춘 전 교육부 차관 등 핵심 관계자들을 조사할 권한도, 의지도 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교육부는 내부 제보를 활성화하고 국정화 찬성 여론몰이에 동원됐던 외부 사례 등을 수집하려는 용도라고 밝혔다. 교육부 내에서도 국정화에 반감이 컸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동원됐던 관료들이 익명 게시판을 통해 입을 열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교육부 “역사교과서 제보 받겠다”… ‘코미디 하나’ 반응
입력 2017-09-28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