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인 청와대 통일외교안보 특보는 26일 “(지난 7월)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에 군사회담을 제안한 데 대해 미국이 매우 불쾌해했다”며 “렉스 틸러슨 미 국무부 장관이 강경화 외교부 장관에게 강력한 어조로 항의했다”고 말했다.
문 특보는 서울 여의도 63컨벤션센터에서 열린 10·4 남북정상선언 10주년 기념 특별강연에서 “(하지만) 우리 입장에서는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휴전선이나 서해에서 우발적 충돌이 일어나면 확전이 될 수 있다”면서 “이것을 막기 위해서라도 남북이 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 특보는 또 문재인정부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추가 배치와 관련해 “미국의 상당한 압력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문 특보는 “저도 사드 배치를 반대한다”면서도 “전 정부가 잘못된 결정을 하면 거기에 예속될 수밖에 없다.
그는 다만 특보 자격이 아닌 사적 의견이라는 점을 전제로 했다. 문 특보는 “문재인정부 통일외교안보 특보로서가 아니라 10·4 남북정상회담에 참여했던 사람으로서, 또 대학교수로서 개인적 의견을 밝힌다”고 말했다.
문 특보는 최근 안보 상황에 대해선 “1976년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 때보다도 더욱 엄중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당시에는 북한과 미국이 우발적 충돌에 대비하는 수준이었다. 이번에는 미국이 준비된 군사행동을 생각하는 게 아닌가 싶다”면서 “북한도 미국에 맞춰 ‘강 대 강’으로 나오면서 상황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고 했다.
문 특보는 ‘서울을 위험에 빠뜨리지 않는 군사적 옵션이 있다’는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부 장관의 발언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에 영향을 주지 않는 군사행동이란 효과가 없을 것이고 효과가 있는 행동은 엄청난 재앙일 것”이라고 했다. 이어 “한국 정부가 제일 중요하다. ‘군사행동은 안 된다. 동맹을 잃을 각오를 하라’는 입장을 취하면 미국 대통령도 함부로 못한다”고도 주장했다.
조성은 김판 기자
“文대통령, 올 7월 대북 군사회담 제안에… 美, 강경화 장관에 강력한 어조로 항의”
입력 2017-09-27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