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측, 북한이 모르는 것 같아 B-1B 비행궤적 공개”

입력 2017-09-27 05:00
이철우 국회 정보위원장(가운데)이 26일 국가정보원과의 간담회 직후 미국 전략폭격기 B-1B 랜서의 북한 공해 비행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왼쪽은 더불어민주당 간사 김병기, 오른쪽은 자유한국당 간사 이완영 의원. 뉴시스

미국 전략폭격기 B-1B 랜서가 지난 23일 밤 동해 북방한계선(NLL) 북쪽 공해상을 비행할 당시 북한이 이를 감지하지 못한 것으로 국가정보원이 분석했다. B-1B 비행 당시 북한은 아무런 대응을 못했고 이후에야 비행기 이동배치 등의 후속조치를 했다.

국정원은 26일 국회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 간담회에서 이같이 보고했다고 이철우 국방위원장이 전했다.

이 위원장은 “B-1B 비행이 자정 무렵이어서 (북한이) 전혀 예상도 못했고 레이더에서도 (신호가) 강하게 잡히지 않아 (북한이 대응) 조치를 못한 것 같다”며 “B-1B가 들어갔을 때 북한에선 아무 조치가 없었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미군 측은 북한이 모르는 것 같아 비행 궤적을 공개했다”며 “미군 측은 ‘(북한이) 아마 깜짝 놀랐을 것이다. 지금까지 북한 반응이 없는 것은 중국·러시아와 상의한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북한은 미군의 궤적 공개 후에야 비행기를 동해안 쪽으로 이동하는 등의 강화조치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정원은 또 북한의 비무장지대(DMZ) 내 움직임에 대해 “북한이 (관련 군부대에) 선(先)보고하고 후(後)조치하라고 지시를 내리고 있다”며 “우발적 도발이나 충돌이 없도록 조심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다만 이런 지시는 예전부터 이어져오던 것으로 최근 기류가 바뀐 것은 아니라고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간사가 말했다.

이완영 자유한국당 간사는 “북한의 10월 미사일 발사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있어 물어보니 ‘아직 어느 정도 규모고, 몇 천㎞급인지 알 수 없지만 상당히 경계하고 있다’고 보고했다”고 전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국정원 북한담당 국장은 “추석에 집에서 쉬지 못할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국정원은 북한 함경북도 풍계리 인근에서 지난 23일 발생한 진도 3.2 규모 지진에 대해 “자연지진으로 발표됐지만 6차 핵실험으로 인한 영향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6차 핵실험 및 23일 지진으로 인한 피해에 대해서는 “일부 산이 무너지고 산사태가 있었던 것 같지만 방사능 누출 징후는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고 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