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화 진상조사’ 친일파 조사 비유… “냉철히 복기”

입력 2017-09-25 22:00
교육부 국정 역사교과서 진상조사위원회 출범식이 열린 25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고석규 위원장이 의사봉을 두드리며 출범을 선포하고 있다. 오른쪽은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최현규 기자

박근혜정부의 대표적 교육 적폐로 지목된 역사교과서 국정화 정책에 대한 진상 규명 작업이 본격화됐다.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국정화 추진과정 조사를 친일행적 조사에 비유하며 강력한 의지를 내비쳤다.

김 부총리는 2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위원회’ 출범식 겸 1차 정기회의에 참석해 “(국정화 추진 과정을) 냉철하게 복기해 진실을 규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대다수 국민이 반대하는 사안이었다. 민주적 절차가 철저히 무시됐다는 점에서 민주주의를 학교와 사회에 정착시켜야 할 책무를 지닌 교육부가 자신의 역할을 저버린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부총리는 친일 문제를 연구한 고 임종국 선생을 소개하며 “임 선생은 아버지도 친일 인물로 기록했던 분이다. 사실에 기초한 기준 외 혈연과 지연 등 다른 것은 보지 않았기에 가능한 일”이라며 “이런 마음으로 일관성 있는 조사를 추진하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진상조사위원장인 고석규 전 목포대 총장은 “국정화를 위한 일련의 과정에서 민주주의가 심각하게 훼손됐다”며 “진상조사의 궁극적 목표는 재발방지다. 국정화 과정 재구성과 재발방지에 방점을 두고 진상을 철저히 규명하겠다. 재발방지책을 마련해 백서로 발간, 후속세대에 역사적 교훈으로 남기겠다”고 말했다.

부총리 직속인 위원회는 국정화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과정에서 절차적 위법 내지 부당행위가 있었는지를 조사한다. 위원회는 이날 회의에서 진상조사 주요 과제를 심의·확정하고 앞으로 매달 셋째 주 금요일에 정례 회의를 열기로 했다.

글=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사진=최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