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부정적 여론 막고 안보 고리로 野에 협치 압박

입력 2017-09-25 18:05 수정 2017-09-25 23:42
청와대가 북핵 등 안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여야 5당 대표·원내대표 회동을 27일 갖기로 공식 제안했다. 김명수 대법원장 국회인준을 계기로 물꼬를 튼 여야 협치를 안보 문제로까지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국정감사와 개혁 입법 처리를 위해 야권의 협조를 구하겠다는 이른바 ‘로키(low key)’ 전략의 연장선상이다.

거듭된 안보·경제 위기 속에 추석 명절을 맞게 되는 만큼 부정적 민심을 차단하려는 의도도 깔려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결국 문 대통령과 여야 대표 회동을 정기국회 회기 내 각종 개혁입법 처리를 위한 디딤돌로 만들기 위한 차원이지만, 실제로 이번 회동이 여야 전면적인 협치로 나아갈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25일 춘추관 브리핑에서 “이번 회동은 안보 문제를 중심으로 초당적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여야 당 대표와 원내대표를 초청할 계획이지만 각 당 의사를 존중해 최종 결정키로 했다”고 말했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끝까지 불참한다면 제외하고 회동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와 관련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를 개최하고 “추석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국가적 문제에 대한 초당적 협력이라는 추석 선물을 국민들께 드릴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엄중한 안보 상황에서 초당적으로 대처하고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를 구성해 보다 생산적 정치를 펼치는 데 대한 지혜를 모으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유례없는 한반도 긴장과 안보위기가 계속되고 있어 적어도 이 문제들에 대해서만큼은 여야를 초월한 협력과 국민들의 단합된 지지를 부탁드린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국회가 김명수 대법원장 임명동의안을 처리해준 데 대해 “사법부 수장의 공백 우려로 국민들 걱정이 컸었는데 삼권분립을 존중하는 책임 있는 결정을 해주신 국회와 야당의 협력에 감사드린다”고 사의를 표했다. 유엔총회에 대해서는 “최대 성과는 북한 핵과 미사일 도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강도 높은 제재와 함께 평화적 원칙을 재확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당을 제외한 야3당은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홍 대표는 “형식적 만남이나 보여주기식 만남은 국민을 기만하는 것”이라며 불참 의사를 거듭 밝히면서 반쪽짜리 회동 가능성은 높아졌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참석 여부를 묻는 기자들 질문에 “협의해보겠다”며 참석 가능성을 내비쳤다. 다만 “회동에서 여야정협의체를 논의하는 것은 적절치 않고 외교안보 주제를 이야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호영 바른정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바른정당은 안보와 관련한 청와대 영수회동을 요구한 바 있으므로 초청이 오면 참석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도 청와대 회동에 참석할 예정이다.

한편 문 대통령은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으로 장병규(44) 블루홀 의장, 국가교육회의 의장으로 신인령(74) 전 이화여대 총장, 저출산·고령화사회위원회 부위원장으로 김상희(63)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각각 위촉했다.

문동성 김경택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