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의 ‘공공부문 일자리 81만개 창출’이라는 국정과제에 맞춰 올 하반기 공공분야에 대규모 채용 시장이 열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건국대 새천년관에서 산업부 주최로 한국전력공사 등 전력분야 9개 공기업이 하반기 합동 채용박람회를 연다고 25일 밝혔다.
전력공기업 9개사의 하반기 신규채용 규모는 총 1309명이다. 이 중 한전이 600명으로 가장 많고 동서발전 136명, 서부발전 130명, 한전KDN 114명을 뽑는다. 하반기 채용을 늘리면서 올해 9개사 전체 채용 규모도 3575명으로 지난해보다 331명(10.2%) 늘었다.
전력분야 공기업들은 정부가 제시한 공공부문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최근 늘어난 회사별 정원 규모를 신속히 하반기 신규채용에 반영키로 했다.
다만 한국수력원자력의 하반기 신규채용 인원은 60명으로 작년 하반기 139명에 비해 크게 줄었다. 올 상반기 채용 인원 145명과 비교해도 절반 수준 이하로 떨어졌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른 신규 원전 건설 추진 중단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도 올 하반기 신입직원을 총 330명 뽑기로 했다. 상반기 212명보다 무려 118명이 늘어난 역대 최대 규모다. LH가 하반기에 신입 직원을 채용하는 것도 출범 이후 처음이다.
취업준비생들도 하반기 공공기관 채용 시장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최근 한 취업 포털이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취업준비자의 10명 중 8명 이상은 올 하반기 공기업에 지원했거나 지원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기업들이 새 정부 눈치를 보느라 쓸데없이 인력 편성만 늘린다는 비판도 나온다. 이들 기업은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이나 공적임대주택 확대, 도시재생 뉴딜 등 대규모 정부 사업을 수행하려면 신입직원 채용이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현장 상황은 고려하지 않은 채 일자리를 늘리라고 압박하는 정부 방침에 불만도 많다. 인력 확충으로 발생하는 비용에 대해 정부의 보존 없이 인력만 늘리는 데 부담을 느끼고 있다.
한 공기업 관계자는 “인력 한 명을 채용할 때마다 회사가 부담하는 비용이 있는데 그에 따른 정부의 보상은 없다”면서 “그런데도 공공기관은 국정감사 때마다 심각한 부채율이나 적자운용에 대한 질타만 받는다”고 토로했다.
최근 발표한 지역인재 30% 채용 비율도 부담이 크다는 지적이다. 해당 지역에 그만큼 비율을 채울 만한 인원이 없는 곳도 많고 지역인재를 채용해도 이들이 해당 지역보다는 서울 등 대도시 근무를 지원한다는 것도 문제다. 실제 경남 진주에는 중소기업진흥공단을 비롯한 11개 공공기관이 지역인재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일자리 확대에 따른 비용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공공기관들의 자구노력도 있다. 최근 동서발전의 경우 공공기관 탄력정원제를 통해 인건비 증가 없이 수당 등을 줄여 72명을 추가 채용키로 했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
하반기 공공분야 대규모 고용… 새정부 일자리 눈치 보느라고?
입력 2017-09-26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