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죽음의 백조’로 불리는 미국 전략폭격기 B-1B 랜서가 지난 23일 밤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비행한 데 대해 한·미 간 사전 협의가 이뤄졌다고 25일 밝혔다. B-1B의 무력시위가 사전 조율 없이 미국 측 통보 형식으로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다는 시각에 대한 반박이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기자단 공지를 통해 “B-1B의 비행은 충분한 사전 협의를 거쳤다. 한·미 간 긴밀한 공조 속에서 이루어진 작전”이라고 밝혔다. 이어 “비행작전 전 과정이 한·미 공조하에 진행됐다”며 NLL 이북의 공해상 작전과 관련해서는 NLL을 준수하는 차원에서 우리 군이 참가하지 않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 군 전투기가 무력시위에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이번 작전은 한·미 공조 아래 이뤄진 것이라는 뜻이다. 미국의 독자 대북 군사행동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려는 의도도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지난주 방미 기간 때부터 문재인 대통령에게 실시간으로 보고된 사항”이라며 “NLL은 남북 간에는 지켜야 하는 선이지만 제3국이 꼭 지켜야 하는 것은 아니다”고 했다.
청와대 측은 또 24일 문 대통령의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 주재 사실을 갑자기 공개한 것에 대해 “지난주 이미 예정됐던 회의”라고 말했다. 그동안 NSC는 북한의 미사일 도발 이후 사후 대응조치를 강구하기 위해 열렸지만 이번 NSC는 북한 도발 등을 사전에 점검하고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 열렸다는 설명이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B-1B 비행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긴급히 열린 것 아니냐는 시각은 너무 좁은 해석”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해명에도 불구하고 B-1B의 출격은 미국 측 의사가 주로 반영됐을 것이라는 시각이 여전하다. 그동안 정부는 미국 측에 전략자산 전개를 요청하면서도 비무장지대(DMZ)에 가까이 접근하는 것은 자제해 달라고 당부해 왔다. 군 관계자는 “B-1B 무력시위는 정부의 기조와는 정반대였다”며 “미군 측 입장이 대폭 반영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글=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사진=이병주 기자
靑 “文 대통령, 방미 기간 때부터 B-1B 무력시위 실시간 보고받았다”
입력 2017-09-25 18:04 수정 2017-09-25 22:05